가슴 아픈 사고 다시 없도록…지방 응급구조체계 보강 절실

입력 2019-11-05 13:16
화재 진압 중인 소방헬기 모습. 뉴시스

지난달 31일 발생한 독도 해역 소방헬기 추락사고 후 경북 항공응급구조체계의 보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넓은 권역을 담당하는 것은 물론 울릉도, 독도까지 책임져야 하는 만큼 성능 좋은 장비 확충이 절실하지만 예산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5일 경북도와 경북도소방본부에 따르면 현재 경북소방본부가 보유한 헬기는 KA-32T(카모프)와 AS-365N3(돌핀) 등 2대 뿐이다. 카모프는 항속거리가 700㎞에 달하지만 야간비행이 불가능한 노후 기종이다. 야간비행이 가능한 돌핀(항속거리 814㎞)은 12월 초까지 정기점검을 받아야하기 때문에 당장은 사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번에 대구에 있는 중앙119구조단에서 헬기를 띄웠다. 특히 경북소방이 보유한 두 헬기는 경북 중심이 아닌 남쪽에 치우친 대구공항에 배치돼 있어 출동에 시간이 더 걸린다.

2013년 7월부터 안동병원에서 닥터헬기를 운영하고 있지만 소형헬기여서 편도 운항거리가 120㎞에 불과하다. 320㎞ 정도 떨어진 울릉도까지 비행은 불가능하다. 울릉도와 독도엔 헬기를 자동으로 유도해 주는 관제시스템도 없어 야간 투시경을 끼고 시각비행을 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이 때문에 경북 동해안지역을 전담하는 응급구조 조직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경북소방본부가 동해안 권역을 담당하는 ‘동해안119특수구조대’를 2021년까지 포항에 설립할 계획이다. 이 시설이 들어서면 대구공항에 배치된 헬기 2대를 옮겨 올 수 있지만 추가로 헬기를 확보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울릉도에 항공대를 상시 배치하는 방안도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제 이뤄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울릉도 지역 의료시설도 열악하다. 현재 울릉도엔 의료기관이 두 곳뿐인데 그마저도 한 곳은 한의원이다. 수술이 가능한 의료기관은 울릉도 보건의료원이 유일한데 심뇌혈관 질환·중증외상 등 중증질환자는 자체적인 치료가 힘들다.

문제는 예산이다. 예산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가 장비와 인력 추가를 위한 돈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다. 헬기 추가 배치, 24시간 교대 근무가 가능한 조종사 인력 확보, 정비시설과 인력 확충 등에 수백억원 이상의 많은 예산이 들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의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경북도소방본부 관계자는 “울릉도와 독도까지 관리하려면 지금 기종보다 더 크고 성능이 좋은 기종이 필요하다”며 “정부에서 전국의 상황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예산 배정을 하는데다가 예산도 넉넉하지 않아 추가 장비를 도입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