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모든 열차의 운행과 안전을 총괄하는 철도교통관제센터(위치도)가 청주 오송에 들어선다. 이 센터는 철도 전 노선을 한 곳에서 실시간으로 통제하고 제어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분산된 철도망을 하나로 통합 제어하는 철도교통의 핵심적인 기능을 하게 한다.
4일 충북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입지선정위원회를 거쳐 이 센터 입지로 오송을 확정했다.이 센터는 3만2000㎡ 부지에 연면적 2만㎡ 규모로 조성된다. 조성 기간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등을 포함해 오는 2025년까지이다. 사업비는 국비 3000억원이다. 건물과 시스템은 2023년 구축되지만 2년여의 시운전을 거쳐 2026년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이 센터에는 500명 이상의 관제사가 근무하게 되며, 관련 유지·보수 업체의 오송 이전도 예상된다.
현재 서울 구로관제센터가 있지만 설비가 낡았고 KTX, SRT, GTX 등 고속철도 양적 확대에 따라 비상시에도 중단없는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시설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이 센터 건립이 추진됐다.
도는 이 센터 입주는 국내 유일의 KTX 분기역인 오송역의 위상 강화에도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송 시설장비사무소에는 국내 유일의 철도종합시험선로와 철도완성차 안전시험 연구시설, 무가선 트램 시험선 등의 철도 인프라가 구축돼 있다.
오송역 이용객은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고, 올해에는 800만명이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평택∼오송 2복선 개통 후에는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도 관계자는 “오송이 국가철도 인프라 구축의 최적지임을 정부가 공식 인정한 것”이라며 “앞으로 철도종합시험선로와 철도 연구개발(R&D) 시설·기관을 기반으로 오송 철도 클러스터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