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에 ‘미세먼지 대응 산업환경 개선 지원센터’를 구축한다면 전국적으로 637억9400만원 생산 유발효과와 196억4900만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있다는 연구용역 결과가 나왔다. 충북도는 산업환경 개선 지원센터가 조기에 충북에 구축될 수 있도록 국비 예산 확보 총력전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도는 4일 충북연구원 중회의실에서 센터 구축 논리 개발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용역에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FITI시험연구원,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 한국캠 브리지필터, 코프로 등 국내 20여개 기관·기업이 참여했다.
용역결과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하기 위한 정부정책 지원과 충북의 소각시설 현안 해결에 적합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센터 구축은 타당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도는 2022년까지 청주시 오창읍 일원에 연면적 7000㎡의 5층 규모의 센터를 짓고 먼지 제어 실증 시스템, 공기정화 소재·기기 수명 평가시스템 등을 구축할 방침이다. 사업비는 국비 120억원·민자 130억원 등 280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센터가 구축되면 미세먼지 저감 정부 정책 선도, 충북의 소각시설 현안 해결, 미세먼지 관련 소재 개발, 미세먼지 시장 규모 확대 등에 효과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충북은 미세먼지 경보 발생일 수가 많은 편이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산업환경 개선 지원센터는 미세먼지 저감으로 대기질 개선과 국민건강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충북지역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44㎍/㎥로 경기, 대전, 경북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높다. 올해 1∼9월 미세먼지·초미세먼지 특보 발령 횟수도 62회나 된다. 같은 기간 충남은 44회, 대전 22회, 서울 21회로 나타났다. 아주대 산학협력단이 2017년 4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충북의 미세먼지 중 국외 요인은 43%, 국내 외부요인은 57%, 충북 자체 요인은 30%였다.
이에 도는 미세먼지 종합대책으로 15개의 신규 사업을 발굴해 2030년까지 957억원의 추가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신규 과제는 취약계층 이용시설 공기청정기 보급, 미세먼지에 의한 다중 장기손상 대응기술 연구개발, 건설기계 저공해 조치, 미세먼지 불법·과다배출 예방 감시 지원, 주유소 유증기 회수설비 지원, 미세먼지 3차원 추적관리 등이다.
이밖에 미세먼지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대기측정망 시·군별 추가 설치와 에너지 자립도 향상을 위한 대책도 지속해서 추진한다. 미세먼지 자료 수집·분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국가 미세먼지 정보센터, 국가 대기오염 집중 측정소 등의 유치에도 전력을 다하기로 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