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82년생 김지영’과 관련한 청년대변인의 논평을 사흘 만에 철회했다. 장종화 민주당 청년대변인은 ‘82년생 김지영’과 관련해 남성도 여성과 마찬가지로 차별을 받고 있다는 취지의 논평을 내 논란에 휩싸였었다. 이해식 민주당 대변인은 3일 논평을 철회한 배경에 대해 “(해당 논평이) 당론에 부합하지 않고, 개인적인 견해가 많이 섞여들어가서 당 논평으로는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장종화 민주당 청년대변인은 지난달 31일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영화의 존재 자체가 소위 페미니즘의 상징이 되고 공격의 대상이 됐다”며 “그러나 우리 사회가 들여다봐야 할 문제는 그 지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김지영이 겪는 일들을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한두 가지는 우리 모두 봤거나, 들었거나 겪었다”며 “이는 거꾸로 ‘82년생 장종화’를 영화로 만들어도 똑같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그러면서 “초등학교 시절 단순히 숙제 하나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풀스윙 따귀를 맞고 스물둘 청춘에 입대해 갖은 고생 끝에 배치된 자대에서 아무 이유 없이 있는 욕, 없는 욕은 다 듣고 키 180 이하는 루저가 되는 것과 같이 여러 맥락을 알 수 없는 남자다움이 요구된 삶을 살았다”고 말했다. 사회에서 겪는 성차별은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게도 해당한다고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장 대변인은 “영화는 ‘이렇게나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려 하지 않는 삶을 살고 있구나’ 하는 점을 보여준다”며 “김지영을 통해 우리가 깨달아야 하는 것은 성별과 상관없이 우리가 얼마나 서로의 입장과 생각을 제대로 마주하지 않으며 살아왔나 하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장 청년대변인의 논평이 나오자 당 안팎에선 비판이 쏟아졌다. 김민석 민주당 관악갑 대학생위원장은 페이스북에서 “영화가 페미니즘의 상징이 됐지만 들여다볼 문제가 그게 아니라니 대체 무슨 근거로 그렇게 평가하는 것이냐”며 “‘82년생 김지영’은 여성이 마주한 차별을 직시한 페미니즘 작품이고 그렇기에 이해받지 못해온 차별을 그려낸 것”이라고 했다.
강민진 정의당 청년 대변인도 “가부장제는 남성에게도 해로운 게 맞지만 그렇다고 ‘남자도 차별받는다’, ‘여자나 남자나 똑같이 힘들다’는 말이 맞는 말이 되는 건 아니다”며 “여성을 차별하고 착취함으로써 남성이 기득권을 누리는 세상이라는 것도 부정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