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원은 “야당 원내대표의 각종 의혹에 대한 특검 요청이 있었다. 국민들은 ‘부모찬스’ ‘스카이캐슬’에서 벌어진 불공정행태에 대해 분노하며 야당 원내대표 자녀 관련 의혹 청원에 36만5000명이 동참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조국 수사’를 빗댔다.
그는 “조국 전 장관에 대해서는 특수부 검사 수십 명이 동원돼 전격적인 압수수색과 더불어 전광석화와 같은 수사가 진행되고 자기소개서 한줄한줄에 대해 현미경 검증이 이뤄졌다”면서 “본질상 동일한 야당 원내대표 자녀 문제에 대해서는 시민단체의 고발이 서울중앙지검 형사부에 배당되고 나서는 감감무소식이다. 첫 고발이 9월 16일에 이뤄졌고 한달반이 지났지만 고발인 조사도 하지 않았다. 답답한 시민단체는 3차례 고발을 더했다”고 따져 물었다.
이어 “이 사안에 대해 많은 국민들께서 몹시 궁금해 하시면서 제게 질의해달라고 요청했다. 수사에 형평성을 맞추려면 야당 원내대표 딸과 관련해 성신여대 입학처, 교무처 압수수색 하고 당시 총장, 입시 때 면접했던 교수들, 성적을 올려준 교수들 모두 소환해야 한다”면서 “아들의 제1저자 포스터 관련해서 서울대 윤모 교수 소환하고, 실험실과 연구실 압수수색해서 연구노트 확보하고 공저자들 참고인으로 불러서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확인하고, 포스터 파일이 작성된 컴퓨터에서 수정 파일 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포렌식 하고, 포스터 제출시 학회 측과 주고받은 이메일이 누구 것인지 철저하게 조사해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되묻기도 했다.
그러자 정 의원이 “청와대를 상대로 질의를 해야지”라고 크게 말하며 국감장이 한때 소란스러워졌다. 박 의원은 질의를 중단하지 않았다.
박 의원은 “야당 원내대표 자녀건도 일반 사건을 다룬 형사부가 아닌 특수부에 배당돼야 하고 동원되는 검사의 수에서도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수사의 진행 속도도 비슷해야 하지 않나”라면서 “비서실장은 검찰이 유사한 두 사안을 너무도 다르게 취급하고 있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 검찰 수사는 시작됐느냐”고 재차 물었다.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에 대해 “청와대는 개별 사건 수사에 대해 일제 관여하지 않는다.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기관이 판단했을 것”이라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의사진행 발언권을 받은 정 의원은 박 의원의 질의에 문제를 제기했다.
정 의원은 “이제 그만 하자. 여당이 정부 정책 홍보할 기회를 줘야지. 걸핏하면 야당 원내대표를 공격한다”면서 “(중대 사안이 있을 때) 뜨거워지기도 하지만, 여당에서 야당을 이렇게 공격하면서 분위기를 끌고가는 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의원들끼리도 품위를 지키고 상대당 대표에게도 예의도 좀 있어 줘야 한다. 입만 열면 나경원 공격인가. 정말 그렇게 두렵나”라면서 “위원장이 이 런 문제는 이 시간 이후 국감장에서 나오지 않도록 원만하게 진행해달라”고 주문했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