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학 입시 공정성 강화를 이유로 서울 주요 대학 정시 비율을 올리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전국 고교 진로·진학 담당 교사들에 이어 전국 대학 입학처장단도 정시 확대에 반대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전국대학교 입학관련처장협의회는 1일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해 공론화를 통해 ‘2022학년도 수능 위주 전형(정시) 30% 이상’ 등이 권고된 상황에서 이를 시행해보기도 전에 정시 확대가 재논의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이들은 “특히 수도권 주요 대학의 정시를 확대한다는 방안은 지역 간 대학 불균형을 심화하고 현행 수시 전형을 심각하게 훼손할 우려가 크다”면서 “교육부가 고교 교실 수업을 강화해온 2015 개정 교육과정 방향에도 역행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현재 논의되는 대입 개편은 지난해 공론화를 거쳐 발표했던 2022학년도 시행안을 그대로 수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향후 2025학년도에 고교학점제 등이 예정돼 있으므로 대입 개편은 이에 맞춰 안정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이들은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10여년 전 사례 때문에 공정성 확보를 논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면서 “자기소개서 폐지,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영역 미제공 등의 극단적인 방안은 대학 자율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며 학종의 근간을 뒤흔든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학종 취지에 맞게 자기소개서 반영은 대학 자율에 맡기고, 학생부 비교과영역은 학생 선발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전국대학교 입학관련처장협의회는 전국 4년제 대학교에서 입학 업무를 총괄하는 입학처장 또는 본부장들의 협의체다. 현재 회장은 국민대학교 박태훈 입학처장이 맡고 있다. 지난해 대입 개편 공론화 결과에 따라 정시 비율은 2022학년도부터 최소 30%로 이전보다 5∼10% 늘어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최근 대입 공정성 강화 요구가 불거지자 서울 주요 대학 정시 비율만 2022학년도부터 40%대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전국진학지도협의회와 전국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는 전날 “지난해 8월에 발표한 2022대입제도 개편안을 시행하기도 전에 이를 다시 고치겠다는 것은 장기적 교육정책을 수립하겠다는 대통령의 공약을 스스로 지키지 않겠다는 것이며 학교 현장의 혼란은 안중에도 없다는 뜻”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의 정시 상향 발언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