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상무중과 치평중 통합작업이 무산됐다. 학생 수 감소로 통합을 추진했으나 공론화 과정 끝에 통합이 중단돼 수백억 원의 국비지원 계획도 사실상 없던 일이 됐다.
광주시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상무중과 치평중 통합작업이 전면 중단됐다”고 1일 밝혔다. 31일까지 실시한 학부모 자동응답시스템(ARS) 설문 결과 한 학교의 학부모 과반수가 반대한 데 따른 것이다.
두 학교 통합을 위한 수개월 동안의 공론화 과정도 수포로 돌아갔다. 숙원사업인 진로체험센터와 주민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도 사실상 추진이 어렵게 됐다.
시교육청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코리아정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4일부터 31일까지 1주일 간 상무중·치평중 학부모 ARS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통합대상 학교 중 한 곳에서 찬성률이 50% 미만에 그쳤다.
설문대상 학부모는 상무중 291명, 치평중 390명 등 모두 681명으로, 응답률은 상무중 91.64%, 치평중 93.18%에 달했다.
사회적 논의기구인 ‘적정규모 학교 육성 상무중·치평중 추진위’는 앞서 설문방식을 ARS로 결정하면서 ‘찬성률이 한 학교라도 50% 미만일 경우 통합 추진을 전면 중단하고, 찬성률이 50%를 넘으면 통합을 확정해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한다’는데 합의한 바 있다.
시교육청과 관할 광주 서구는 상무중과 치평중을 하나로 합친 뒤 국비 등 400억원을 들여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한 진로체험센터와 함께 문화센터·공공도서관을 갖춘 ‘두드림 복합문화센터’를 신축하기로 했으나 통합 무산으로 사업자체가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전체 사업비의 절반인 200억원 상당의 국비를 반납하거나 교부를 받지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
당초 이 사업은 지난 2일 최종 확정된 국무조정실의 생활 SOC시설 복합화사업에 따른 지역단위 추진계획으로 착수했다.
하지만 상무중 학부모 등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가 학습권 침해 등을 내세워 반발하면서 공론화 필요성이 제기됐고 지난 6월 이를 위한 사회적기구를 만들어 여론조사 기관에 찬반 설문조사를 의뢰했다.
시 교육청 최두섭 행정예산과장은 “학부모들의 결정을 존중한다”며 “학생들에게 4차 산업혁명 시대 진로정보와 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진로체험센터는 향후 대체부지를 찾아 건립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