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5대 광역도시권, 통행 시간 30분대로 단축·비용 30% 절감할 것”

입력 2019-10-31 10:30
李총리 “핵심은 출퇴근을 더 빠르게, 더 편하게, 더 싸게”

김현미(오른쪽 두번째) 국토교통부 장관이 3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도시권 광역교통 비전2030 당정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31일 2030년까지 주요 광역도시권의 통행 시간과 통행 비용을 대폭 줄이는 내용의 ‘대도시권 광역교통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당정협의에서 “수도권, 부산·울산권, 광주권, 대구권, 대전권 등 5대 광역도시권 교통 인프라가 바뀌어야 한다”며 “다양한 교통수단을 확대하고 합리적인 요금을 만들어 광역거점 간 통행 시간은 30분대로 단축하고 통행 비용은 30% 절감하고 환승 시간도 30% 감소하는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정식 정책위의장은 “현행 광역철도 730㎞, 도시철도 710㎞인 철도 연장을 두 배로 확충하고, 새로운 교통수단인 트램 등을 적극 도입하겠다”며 “광역버스 확대 및 교통시설 간 빠른 연계환승시스템을 구축하고 교통비 부담을 절감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조 정책위의장은 “당정은 광역교통사업이 현장에서 실행되고 구체화할 수 있도록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내년도 광역교통예산을 차질 없이 반영하겠다”고 했다. 또 광역교통특별대책신설기구 등 대도시권 관리특별법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3월 출범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를 중심으로 이번 비전을 마련했다고 설명하면서 “‘광역교통 2030’은 향후 10년간 추진할 방향성과 목표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수혜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수도권 허브 등에 신규 노선을 추가로 검토하겠다”며 “만성적인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주요 간선도로에 대심도 지하도로를 신설하는 방안도 내년까지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광역버스는 수도권뿐 아니라 지역 대도시권에서도 운행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교통 개선사업이 지연돼 불편이 심각한 지역은 특별대책지구로 지정해 광역버스 투입 등 신속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안건 관련 보고서를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광역교통 2030’ 정책과 관련해 “출퇴근을 더 빠르게, 더 편하게, 더 싸게 하자는 것이 그 핵심”이라며 “10년을 내다보는 이 구상이 실현되면 대도시권 주민의 일과 생활의 균형을 포함한 삶의 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예컨대 길에는 철도, 복층도로, 대심도, 지하환승센터 등이 확충되고, 이동수단으로는 전기수소버스, 간선급행버스, 노상 레일 위를 달리는 트램이 늘어날 것”이라고 소개했다.

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이동구간을 걷거나 자전거를 타면 그만큼 교통요금을 깎아주는 광역알뜰교통카드가 전국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우리의 이런 교통기술과 관리체계는 해외시장에서 인기 높은 수출품목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