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뱅킹’이 30일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은행마다 관련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고 있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에서 모든 은행 계좌의 조회·출금이 가능한 오픈뱅킹 특성을 활용한 특화 서비스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KB스타뱅킹과 리브(Liiv) 앱, 인터넷뱅킹을 통해 오픈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앱에 로그인해 ‘다른은행’ 화면을 선택하면 타행의 계좌잔액과 거래내역 조회, 출금을 통한 이체 거래가 가능토록 했다. 수수료도 면제된다.
KB국민은행은 오픈뱅킹과 함께 ‘잔액 모으기’ 서비스를 선보였다. 최대 5개 은행의 입출금계좌에 흩어져 있는 잔액을 국민은행 계좌로 한번에 끌어모을 수 있다. ‘즉시이체’ 또는 ‘예약이체’가 가능하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30~40대 고객들이 월급날, 카드결제일, 자동이체일 등 특정일마다 ‘내 계좌간’ 이체거래를 많이 한다는 점에 착안해 내놓은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은 향후 자산관리, 외환 등에서도 오픈뱅킹을 활용한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이다.
신한은행도 오픈뱅킹 시행에 맞춰 모바일 플랫폼 ‘신한 쏠(SOL)’에 통합자산관리서비스인 ‘마이(MY) 자산’을 내놨다. 스크래핑(자동 정보 추출·제공) 기술을 활용해 은행 계좌뿐 아니라 카드, 증권, 보험, 연금, 부동산, 자동차 등 흩어져 있는 모든 자산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적금과 채권형 투자상품을 조합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목돈마련’서비스와 지출 및 소비 컨설팅, 예상연금수령액, 부동산 및 차량 시세 조회, 타행 예·적금 만기 관리 등이 가능하다.
이밖에 NH농협은행은 금융통합 플랫폼인 ‘NH스마트뱅킹’과 인터넷뱅킹에서 오픈뱅킹 서비스를 본격 개시했다. 다음달 23일부터는 모바일 플랫폼인 ‘올원뱅크’에서도 해당 서비스를 선보인다. 동시에 다른 은행 계좌 50만원 이하 무료 송금, 환전 90% 우대 등의 특화서비스도 내놓을 예정이다.
한편 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운용 중인 금융결제원은 ‘은행권 계좌조회서비스’ 이용시간을 24시간으로 확대했다. 종전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만 이용할 수 있었다.
금융결제원은 “서민·상호금융기관과 저축은행, 증권사, 카드사의 이용 시간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며 “내년부터는 타업권 조회서비스 및 계좌해지·잔고이전서비스 이용 시간도 지속적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