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의원은 이날 변혁 국회의원·원외 지역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라는 선거법을 통과시키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법을 통과시키기 위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민주평화당, 심지어 바른미래당의 일부까지 (의원) 정수를 300명에서 330명으로 확대하는 야합을 시도하는 정황이 여러 군데서 포착됐다”며 “각 정치 세력들이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밀실에서 흥정하고 추악한 뒷거래를 시작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바른정당 시절 저는 대통령 선거에서 당의 대선 공약으로 의원정수를 300명에서 200명으로 줄이겠다고 공약했다”며 “국희의원 선거법에 대해서도 비례성,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대도시의 경우 중대선거구로 하고 소도시와 농촌의 경우 소선거구를 유지하자고 공약했다. 기초단체장 기초의원은 정당공천을 배제하겠다는 약속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변혁이 의원 수는 적지만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하태경 의원도 “청와대도 강기정 정무수석을 통해 국회개혁이 선행되면 의원정수 확대에 조건부로 찬성한다는 입장을 냈다”며 “그런데 선(先) 국회개혁 후(後) 의원정수 확대 이야기는 앞뒤가 안 맞는다. (의원을) 늘리자는 것은 개혁이 아니라 개악하는 것이고 국회를 망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의원정수) 확대 싸움은 조국 사태 2탄”이라며 “의원정수 확대와 공수처 반대를 위한 국민연대를 결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하 의원은 또 “저희들이 손 대표와 결정적으로 갈라서지 않을 수 없던 것도 이 이유가 크다”며 “손 대표는 본인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 ‘새끼민주당’, ‘여당의 2중대’가 되겠다는 입장으로 정국을 바라보니까 선명한 개혁 야당이 되고자하는 저희와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오신환 원내대표 역시 “의원정수 문제는 300명으로 확정해서 지정됐다”며 “늘리겠다는 꼼수와 야합은 결과적으로 또 다시 국민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거들었다. 이어 “의원정수 확대 찬성은 손 대표의 사견일 뿐, 바른미래당의 당론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변혁 측은 이후 결의문에서 “국회의원 정수 확대 선거법 개정에 결연히 반대한다”며 “민주당과 정의당은 정략적 의원 정수 확대 주장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지금보다 국회의원 수를 30명 늘린다고 해서 정치가 더 좋아질 것이라고 믿는 국민은 아무도 없다”며 “국민이 반대하는 의원정수 확대를 들고 나온 것은 패스트트랙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