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나비 사태 조사하라” 국회, 문체부에 조사 요구

입력 2019-10-29 14:26 수정 2019-10-29 14:50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른바 ‘카나비 사태’로 불리는 프로게이머 서진혁의 이적 계약 강압 의혹을 문체부에서 조사하라는 국회 국정감사 서면질의가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문체부는 “민간대회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면서 조사 불가 방침을 내놓았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카나비 사태’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의 조사를 요구하는 서면질의가 지난 21일 접수됐다. 문체부에 접수된 서면질의에는 ▲문체부에서 이번 불공정 전속계약을 조사할 공무원을 긴급 파견해 관계자 소환 등으로 협박 유무와 공모 여부 조사 ▲다른 전속계약에도 문제없는 지 종합적인 실태조사 등이 담겨있다.

문체부는 사흘 뒤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리그는 민간(라이엇게임즈 코리아)에서 운영하는 대회로, 우리 부는 민간대회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하여 조사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없어, 요청하신 진상조사, 실태조사 등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다만 “동 사건에 대하여 해당기관의 자체 조사결과 등을 고려하여 향후 e스포츠 선수의 권익 보호 등을 위한 정책적 대안 마련을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첨언했다.

‘카나비 사태’는 김대호 그리핀 전 감독이 개인방송을 통해 한 미성년 선수가 협박에 의해 이적 계약서를 작성했다는 폭로를 하면서 세상에 드러났다. 방송에 따르면 ‘카나비’라는 닉네임을 쓰는 프로게이머 서진혁은 소속팀 그리핀에서 중국의 징동 게이밍(JDG)으로 완적 이적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계약 조건을 조규남 그리핀이스포츠 대표의 강압에 의해 승낙하게 된다. 김 전 감독은 서진혁이 템퍼링(사전 접촉)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계약을 종용당했다고 주장했다.

문제가 불거지자 LCK 운영위원회는 지난 17일 조사에 착수했다. 운영위는 “자사와 라이엇차이나, 양 팀(그리핀-징동게이밍) 모두의 협조 하에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했다. 구체적인 조사 내용은 ▲선수계약과 관련해 템퍼링이 없었는지 ▲선수에게 불합리하거나 강제된 사항이 없는지 ▲지난 5월 선수 이적과 관련해 라이엇 게임즈 코리아에 접수된 계약 이후 계약서를 임의로 추가(이면계약)하거나 변경한 것이 없는지 등이다.

하지만 조 대표의 계약 강압 의혹의 경우 당장 뚜렷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게임사 차원의 조사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때문에 이번 사건을 수사기관의 조사대상으로 봐야한다는 목소리가 국회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국회 관계자는 “확인 결과 미성년자인 서진혁은 지금도 계약 관계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만약 서진혁에게 불공정 계약서 사인을 종용한 것을 비롯한 부당이득이 있었다면 미성년자 약취 유인죄에 해당된다. 문체부 조사를 넘어 수사 대상으로 번질 수 있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다니엘 기자 d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