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없는 부산 해양산업, ‘변신’ 꾀한다

입력 2019-10-28 14:39
부산시가 전통 해양산업을 첨단 산업으로 혁신하는 사업이 추진한다. 부산시 제공

부산의 전통 해양산업을 첨단 산업으로 혁신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부산시는 2021년 연말까지 사업비 182억원을 투입해 ‘지역발전 투자협약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지역발전 투자협약 시범사업은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주관한다. 그동안 중앙정부가 주도하던 국비 사업의 관행을 벗어나 지역이 주도해 지역 상황에 맞는 발전을 실현하도록 하는 다부처 묶음 사업이다. 이 사업에는 국비 91억과 시비 91억이 각각 투입된다.

시는 부산의 신산업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해 동삼혁신도시의 이전 공공기관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부산테크노파크(TP), 기업 등 혁신 주체가 참여하는 오픈 플랫폼을 조성한다. 또 초소형위성 등 첨단기술과 연계한 혁신기업을 육성해 지역산업이 신기술과 인재 등이 어우러진 혁신을 이뤄낸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분야 이전 공공기관이 보유한 첨단기술을 지역기업에 이전·확산함으로써 첨단 해양 신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TP는 장소와 시설을 구축·제공하고 KIOST는 기술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와 연계한 해양관측용 민간 나노 위성 및 핵심 탑재체 기술 개발, 위성 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양-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기술 등을 주요 육성 분야로 추진한다. 글로벌 유망시장인 민간 나노 위성 분야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최초 투자사업이다.

지난 6월 산업통원부를 주부처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해양수산부·중소벤처기업부 등 4개 중앙부처와의 공동협약을 다. 과기부는 위성활용을, 해수부는 해양활용을, 중기부와 산업부는 기업과 수출 지원을 맡는다.

이에 따라 위성기술·위성정보활용·기계부품 분야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진행할 지역대학과 해양 신산업 분야 기술 개발을 희망하는 기업을 다음 달 11일까지 모집할 계획이다. 선발한 기업에는 기업당 최대 1억원을 지원한다.

부산시 해양수도정책과 관계자는 “우리 지역의 전통 해양산업이 4차 산업혁명 첨단기술과 결합해 첨단 해양 신산업으로 혁신 성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인프라 조성과 기술개발·기업지원·인력양성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