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청와대 답변 비판 “유시민식 궤변하지마라”

입력 2019-10-27 11:17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원내정책회의에서 노인 폄하성 발언으로 18일 당 윤리위로부터 6개월 직무정지 처분을 받은 하태경 의원이 생각에 잠겨 있다. 뉴시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이 윤석열 검찰총장 기밀 누설 청원에 대한 청와대의 답변을 비판했다.

하 의원은 2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청와대를 배후에서 조종하나, 사실관계가 명백하게 밝혀진 노환중 문건을 경찰 수사하라는 청와대 답변은 유시민식 궤변”이라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이어 “윤석열 검찰이 (피의사실을) 흘리지 않았다. 기자들이 압수수색 끝난 사무실에 들어가 컴퓨터에서 내용을 확보했다”며 “검찰과 TV조선의 해명 외에도 당시 현장에 있던 언론사 기자들의 증언과 오마이뉴스 보도를 통해서도 확인된 사항이다. 윤석열 검찰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이런 사실을 뻔히 알면서도 청와대는 경찰 수사를 촉구했다. 청와대가 검찰과 경찰 싸움 부추기는 꼴이다. 또 지지층만을 의식한 국민분열 행위”라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마지막으로 “조국 사태로 이미 우리 사회는 너무나 큰 혼란을 겪었고 대가를 치렀다. 그 책임이 있는 청와대가 조국 사태를 반성하고 국민통합에 앞장서기는커녕 윤석열 검찰을 공격하고 국민분열 부추기는 건 심각한 문제”라며 “청와대는 조국 일가 수사를 진핼하는 윤석열 검찰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고 유시민식 여론 호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글을 맺었다.

김광진 청와대 정무비서관이 지난 26일 윤석열 총장 기밀누설죄 국민청원에 답변하고 있다. 김광진 페이스북 캡쳐

하 의원이 거론한 이른바 ‘노환중 문건’은 한 언론사가 8월 말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의 지도교수인 노환중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문재인 대통령 주치의 선정 과정에 개입했다며 제기한 의혹이다.

보도 직후 “검찰이 수사기밀을 흘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시 검찰은 수사 기밀 유출 의혹을 전면 부인했지만 ‘기밀누설죄를 범한 윤석열 검찰총장을 처벌해 달라’는 내용의 국민청원이 올라왔다. 국민청원은 한 달 만에 48만 명의 동의를 받았다.

김광진 청와대 정무비서관은 지난 26일 국민청원에 대한 답변에서 “윤 총장이 공무상 비밀 누설죄를 지었는지를 판단하려면 해당 보도가 어떤 경로로 이뤄졌는지, 구체적인 행위자가 누구인지 판단해야 한다”며 “결국 수사를 통해 밝혀질 수 있다”고 답변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