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진 청와대 정무비서관은 이날 청와대 SNS를 통해 “경찰이 이번 일과 관련한 고발 건을 지능범죄수사대에 배당해 절차에 따라 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청원은 지난 8월 28일에 올라와 한 달 만에 48만여명의 추천을 받았다.
해당 청원의 계기는 8월 27일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둘러싼 의혹과 관련해 서울대, 부산대 등을 검찰이 압수수색한 직후 나온 언론 보도였다. 당시 한 언론은 조 전 장관 딸의 지도교수인 노환중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문재인 대통령 주치의 선정 과정에 개입했다는 취지로 보도했다.
이에 박훈 변호사는 서울중앙지검 관계자가 수사 기밀 사항을 언론에 누설했다면서 같은 달 30일 성명 불상의 검찰 관계자를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당시 검찰은 수사 기밀 유출 의혹에 대해 전면 부인했다. 검찰 관계자는 “관련 보도는 해당 언론사가 검찰과 관련없이 독자적으로 취재한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보도를 한 언론도 “취재진은 당일 검찰의 부산의료원 압수수색이 종료된 뒤 부산의료원 측 허가를 받아 해당 사무실에 들어가 다수 타사기자들과 함께 켜져 있는 컴퓨터 바탕화면에서 보도된 내용이 담긴 문건을 확인했다”고 취재 과정을 밝혔다. 검찰이 수사 기밀을 유출한 것이 아니고 언론사 자체 취재였다고 설명한 것이다.
김 비서관은 윤 총장이 공무상 비밀 누설죄를 지었는지를 판단하려면 해당 보도가 어떤 경로로 이뤄졌는지 등을 판단해야 한다며 “결국 수사를 통해 밝혀질 수 있다”고 했다.
한편, 김 비서관은 이날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관련된 각종 의혹에 대해 특검을 요청한 청원에도 답을 내놨다. 이 청원은 8월 28일부터 한 달간 36만여명의 참여를 받았다.
청원인은 청원글에서 “나 원내대표의 각종 의혹·논란들이 일파만파 번진다”며 “특검을 설치해 모든 의혹을 말끔히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의혹의 구체적인 내용을 거론하지는 않았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나 원내대표 딸의 대학입학 관련 의혹 등을 지칭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 비서관은 “이번 건과 관련한 특검 도입 여부는 국회에서 논의해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김 비서관은 지난 9월 한 시민단체가 나 원내대표의 자녀입시 의혹을 검찰에 고발한 사실을 전하며 “검찰의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