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전북 군산의 옛 한국GM 공장에서 열린 ‘전북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에 참석하며 경제 현장 행보를 이어갔다. 군산은 지난해 GM 공장이 문을 닫는 등 지역 일자리가 급감한 지역이다. 문 대통령이 북·미 비핵화 협상 교착, 남북 관계 경색, ‘조국 사태’ 후폭풍과 경제지표 악화 등 외치와 내치에서 이중고가 덮친 가운데 경제 행보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은 ‘명신공장(옛 GM 군산공장 내 프레스 공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오늘 군산의 경제를 다시 일으킬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을 체결하게 됐다”며 “이제 군산과 새만금 일대에 전기차 클러스터가 조성되고, 2022년까지 4122억원의 투자와 함께 1900여개의 직접고용 일자리가 만들어진다. 가동을 멈춘 공장에서 전기차 생산라인이 다시 힘차게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군산형 일자리는 명신, 에디슨모터스, 대창모터스, MPS코리아 등 전기차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이 군산·새만금 산단에 2022년까지 총 4122억원을 투자해 직접일자리 약 1900여개를 새로 마련하는 사업이다. 명신은 2021년 중국 전기차 바이톤을 위탁 생산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2년엔 자체 모델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에디슨모터스는 전기버스 등 상용차를, 대창모터스는 초소형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군산은 2017년 현대조선소 가동 중단에 이어 지난해 GM 공장 폐쇄로 약 1만6900개의 직간접 일자리가 줄어든 지역이다. ‘군산형 일자리’는 대기업이 빠져나간 지역에 기술력을 가진 중견·벤처기업이 힘을 모아 전기차를 생산하고,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군산지부가 모두 참여하는 상생형 일자리이기 때문에 의미가 크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양대 지역 노총이 모두 참여하면서 노동자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기업과의 갈등은 최소화할 수 있고, 중견·중소기업이 수평적으로 힘을 합쳐 다양한 상생 방안을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전라북도는 전기차 부품업체 전환을 위해 140억원 규모의 연구 개발 예산 등을 지원한다. 중앙정부는 상생형 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문 대통령도 “군산형 일자리가 무엇보다 희망적인 것은 ‘상생’의 수준이 최고라는 점”이라며 “상생형 일자리 중 직접고용 규모가 가장 많고, 정규직 채용 비중이 높으며, 직무와 성과 중심의 선진형 임금체계가 도입된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노사민정의 합의로 만드는 ‘지역 상생형 일자리’가 광주를 시작으로 밀양, 대구, 구미, 강원 횡성에 이어 군산으로까지 확산하는 것에 고무된 분위기다. 청와대는 총 6개 상생형 지역 일자리 프로젝트에서 향후 약 2조1300억원의 투자와 약 5200명의 직접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정부도 ‘상생형 지역 일자리 지원센터’를 통해 지역에 도움을 드리고, 기업과 노동자에게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 이후 연일 경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대기업 편향’이라는 일각의 지적에도 삼성디스플레이와 현대자동차 공장을 방문하고 주요 경제단체장과 만나는 등 혁신성장 지원에 나서고 있다. 현장 경제 행보를 통해 국정 동력을 찾겠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임성수 박세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