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연쇄살인사건의 피의자 이춘재(56)가 살해했다고 자백한 ‘화성 실종 초등생’이 실종 당시 ‘가출인’으로 분류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화성연쇄살인사건 수사본부에 따르면 1989년 7월 7일 낮 12시30분쯤 화성 태안읍에서 당시 초등학교 2학년이었던 김모(8)양은 학교 수업을 마치고 귀가하던 중 실종됐다. 경찰은 김양이 스스로 집을 나갔다고 보고 ‘가출인’으로 분류해 사건을 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김양의 부모가 두 차례에 걸쳐 수사를 요청했지만 경찰은 사건을 단순 실종사건으로 마무리했다.
수사본부는 과거 수사기록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이 같은 내용을 확인했으나 당시 경찰이 학교에 잘 다니던 나이 어린 학생을 ‘가출인’으로 판단한 이유와 관련한 수사기록은 찾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양의 실종과 화성연쇄살인사건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 일부 남아있는 수사 기록을 면밀히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당시 사라진 김양의 흔적은 실종 5개월여 만에 같은 해 12월 마을 주민에 의해 발견됐다. 주민들은 김양이 입고 있던 치마와 메고 있던 책가방 등 유류품 10여 점을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당시 경찰은 이 중 유류품 7점을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감정을 맡겼지만 유류품을 발견한 사실에 대해서는 김양 가족들에게 알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감정한 유류품에서는 인혈(人血) 반응이 나왔으나 혈액형 판정은 나오지 않았다.
수사본부 관계자는 “당시 경찰이 김양의 가족들에게 유류품 발견 소식을 알리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당시 수사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어 계속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수사본부는 이춘재가 김양을 살해한 후 시신과 유류품을 범행 현장 인근에 버리고 달아났다는 진술을 확보해 수사 중이다. 그러나 이춘재가 지목한 장소와 실제 유류품이 발견된 장소가 100m가량 차이가 있고 두 장소 모두 이미 아파트나 도로 등이 들어선 상태라는 점에서 김양의 시신을 찾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김양의 가족들은 30년이 지난 지금이라도 이번 사건의 진상을 명확히 규명해달라는 뜻을 경찰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태현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