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광역시·도 가운데 세종시로 조사됐다. 시·군·구 중에선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가 가장 많이 땅값이 올랐다. 반면 울산 동구는 땅값이 하락 폭이 가장 컸다.
국토교통부는 24일 ‘2019년 3분기 전국 지가(땅값) 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발표하고 올해 들어 지난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이 평균 2.88%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분기 누계(3.33%)와 비교해 상승률이 0.45% 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16곳의 땅값이 올랐다. 세종(3.96%)이 상승률 1위다. 이어 서울(3.78%), 광주(3.63%), 대구(3.39%), 경기(3.15%) 등의 순이었다. 제주(-0.44%)는 유일하게 땅값이 떨어졌다. 울산(0.40%)과 경남(0.49%) 등도 전국 평균 상승률(2.88%)을 밑돌았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이 3.43% 오른 데 비해 지방은 1.93% 상승하는 데 그쳤다.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상승률 1위는 경기 용인시 처인구(5.17%)였다. 지난 2월 SK하이닉스의 반도체 클러스터 지정, 용인 테크노밸리 인근 투자 수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3기 신도시(교산지구) 인접 지역이면서 지하철 3호선 연장 추진 소식 등이 겹친 경기 하남시(4.84%), 도심 주택재개발이 진행 중인 대구 수성구(4.74%), 지식정보타운 사업과 3기 신도시 지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경기 과천시(4.44%) 등도 상승률이 높았다. 서울 성동구(4.33%)도 지식산업센터 개발수요, 역세권 부근 재개발사업 등의 기대감으로 땅값이 뛰었다.
이와 달리 울산 동구(-1.41%)는 현대중공업 물적 분할에 따른 인구 유출 우려 등이 부각되면서 땅값 하락률 1위에 이름을 올렸다. 경남 창원시 성산구(-1.38%), 경남 창원시 의창구(-1.37%), 경남 거제시(-0.97%), 경남 창원시 진해구(-0.98%)도 조선업 등 배후산업 침체 영향을 받아 땅값이 떨어졌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