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北인권보고관 “북한 식량난은 정권 책임… 아동 3만명 위독”

입력 2019-10-24 11:31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연합뉴스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북한에 만연한 식량난의 가장 큰 책임은 김정은 정부에 있다고 말했다.

24일 ‘미국의소리(VOA)’ 보도에 따르면, 퀸타나 특별보고관은 전날 유엔총회가 열리는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의 식량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출하고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이날 유엔총회 산하 제3위원회에 북한의 식량난과 인권침해 문제를 다룬 보고서를 제출했다.

퀸타나 특별보고관은 북한 주민의 절반에 해당하는 1100만명이 영약부족에 시달리는 등 식량이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주장했다. 또 영양부족으로 시달리는 북한 아동 14만명 중 3만명은 위독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계속 정치범 수용소를 운영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면서 북한 주민들이 여전히 수용소로 보내질 수 있는 두려움 속에 살고 있지만 북한 내부의 인권 상황에 변화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비핵화 합의와 한반도 평화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북한 인권문제를 협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퀸타나 특별보고관은 자신이 북한과 교류하는 것을 추구하지만, 북한에서 중대한 인권유린을 자행한 자들에 대한 책임 규명과 처벌 노력도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그는 중국에서 붙잡혀 북한에 송환될 위기에 처해있는 탈북민들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