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대만에서 여자친구를 살해하고 홍콩으로 도주한 찬퉁카이(陳同佳·20)가 23일 오전 홍콩 픽욱 교도소에서 출소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명보 등이 보도했다.
찬퉁카이는 지난 6월 초부터 다섯달째 홍콩 사회를 뒤흔들고 있는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를 촉발한 장본인이다.
찬퉁카이는 교도소 앞에 몰려든 많은 취재진 앞에서 허리를 숙이며 사죄의 뜻을 나타낸 후 “피해자의 가족에게 용서받을 수 없는 잘못을 저질렀으며, 대만으로 가서 죄값을 치르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또 “홍콩 사회와 홍콩인에게도 죄송한 마음을 금할 수 없으며, 홍콩인들이 속죄할 기회를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격렬한 반대 시위를 불러일으킨 홍콩 정부의 송환법 추진 배경에는 찬퉁카이가 있다.
지난해 2월 찬퉁카이는 대만에서 임신한 여자친구를 살해하고 시신을 한 지하철역 부근에 유기한 후 홍콩으로 도망쳐왔다. 홍콩은 속지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영외에서 발생한 범죄에 대해서는 처벌하지 않는다.
찬퉁카이에게 적용된 것은 여자친구의 돈을 훔쳤다는 절도와 돈세탁방지법 위반 혐의뿐이었고, 재판 결과 그에게는 29개월의 징역형이 선고됐다.
홍콩 정부는 찬퉁카이를 대만으로 인도하길 원했지만, 대만과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아 이를 실행할 수 없었다. 이에 홍콩 정부는 중국을 포함해 대만, 마카오 등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사안별로 범죄인들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범죄인 인도 법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자 홍콩 야당과 시민단체가 들고 일어났다. 이들은 중국 정부가 반체제 인사나 인권운동가를 중국 본토로 송환하는 데 이 법을 악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홍콩 정부는 홍콩 사법체계의 허점을 더는 방치할 수 없다며 법안 추진을 강행했고, 이는 대규모 반대 시위를 초래했다.
29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은 찬퉁카이는 모범수로 형 감면을 받아 18개월만 복역한 후 이날 출소했다. 그는 최근 홍콩 정부에 서한을 보내 대만에서 살인죄를 자수하고 복역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그의 신병처리를 두고 홍콩과 대만 정부가 실랑이를 벌이고 있어 살인죄에 대한 처벌을 받을지도 불투명해졌다.
홍콩 정부는 대만이 찬퉁카이의 신병을 인수할 것을 요청하고 있지만 대만 당국은 그의 인수를 거부하고 있다. 공식 사법 협조가 이뤄지지 않고서는 신병을 인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전날 오후엔 대만 정부가 “우리 경찰을 홍콩으로 보내 찬퉁카이를 데려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홍콩 정부가 “홍콩의 사법권을 존중하지 않는 것으로, 전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고 거부했다.
홍콩은 찬퉁카이가 자수할 명백한 의지가 있다는 점에서 대만이 찬퉁카이에 대한 입경 금지 조치를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대만 당국은 그가 개인 자격으로 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하나의 국가임을 주장하면서 사법권을 행사하고 싶어하는 대만 정부의 입장과 대만을 국가가 아닌 중국 영토의 일부로 보는 홍콩 정부의 시각이 충돌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