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3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금강산 내 남측 시설 철거를 지시한 것과 관련해 “향후 북한과 협의할 부분은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김 위원장이 남측의 관계 부문과 합의해 남측 시설을 철거하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서는 경색됐던 남북 간 대화국면이 풀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김 위원장의 금강산 방문 관련해서는 통일부가 공식 입장을 냈다. 청와대가 다른 입장을 추가로 낼 것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어떤 입장인 건지, 향후 계획들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분석하는게 먼저”라고 강조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전날 시정연설에서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되면, 우리 경제는 새로운 기회를 맞게 된다. 북한의 밝은 미래도 그 토대 위에서만 가능할 것”이라며 “북한의 호응을 촉구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대북 메시지를 낸 지 하루만에 김 위원장이 강경발언을 한 셈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말에 대해 북한이 호응을 한 건지, 아닌지를 우리가 판단할 수 없다. 그것은 북한만이 알고 있다”고 했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발언 가운데 남북 관계에 긍정적인 부분이 있다고 보고 있다. 앞서 김 위원장은 ”보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는 너절한 남측시설들을 남측의 관계 부문과 합의하여 싹 들어내도록 하고 금강산의 자연경관에 어울리는 현대적인 봉사시설들을 우리 식으로 새로 건설하여야 한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남측과 협의해 새로운 시설을 건설해야 한다고 조선중앙통신에 언급돼 있다”고 했다. 다만 청와대가 김 위원장의 발언 전체에 대한 맥락을 파악하기 전에 우리 정부에 희망적인 부분만 본다는 비판도 나온다.
김 위원장의 발언이 현재 실무협상 중인 북·미 관계에 악영항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협상에 대해서도 다양한 추측과 다양한 예측들이 이뤄지고 있다. 물론 어떻게 될지는 북·미 당사자가 가장 잘 알고 있을테지만 미국과 북한에서 발신되는 메시지를 무게감있게 분석하고 있다”며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 계속적으로 협의하고 협상 의지를 가져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안다”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