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동아시아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했다.
또 충남도를 비롯한 일본·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의 지방정부들도 기후변화 대책에 동참하기로 뜻을 모았다.
충남도는 22일 예산군 스플라스 리솜에서 ‘2019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컨퍼런스’ 개회식을 갖고 ‘동아시아 지방정부 기후변화 대응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이날 행사는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 이춘희 세종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주한 영국·프랑스·EU 대사, 전문가, 기업인, 주민 등 500여명이 참가했다.
동아시아 지방정부들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우리 생태계를 위협하는 전 지구적 현안”이라며 “미래세대를 위해 지금부터라도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 실현가능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실천과제 이행, 기후변화 대응 정책 추진 사례 공유 및 정보 교환 등 소통·협력 강화, (가칭)동아시아 지방정부 기후환경 연합 구성 적극 참여 등을 약속했다.
공동선언문 채택에 앞서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유병국 충남도의회 의장, 주민 대표로 나선 황성렬 노후석탄화력 범도민대책위 상임위원장은 ‘충남 기후 비상상황’에 공동으로 서명하고 이를 선포했다.
충남도는 기존 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쇄와 함께 아시아 최초로 ‘탈석탄 동맹’에 가입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대책을 펼치고 있지만,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어 기후 비상상황을 선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도·도의회와 도민들은 기후 위기에 대한 도민의 자발적 참여와 공감대 확산,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적극 추진, ‘기후변화 대응’에서 ‘기후 위기 대응’으로의 정책 강화,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양승조 지사는 “인류는 불과 100여년의 시간 동안 마지막 빙하기 때보다 10배나 빠른 속도로 지구의 기후를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며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재해로 환경과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커다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콘퍼런스를 계기로 충남도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량 ‘제로’ 및 재생에너지 발전량 47.5% 확대, 2026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의 친환경 발전소 전환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도의 이같은 움직임에 환경단체 역시 환영의 뜻을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충남도의 기후위기 비상상황 선포를 절박하게 환영한다”고 했다.
이들은 “공허한 선언에 그치지 않도록 정책적 보완을 통해 충실히 이행해야만 위기 선언이 무색해지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선언을 시작으로 중앙정부와 각 지방정부 모두가 기후위기 비상상황을 인정하고,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수립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예산=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