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22일 도청회의실에서 스마트산단 성공모델 발굴을 위한 ‘경남형 스마트산단 전략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 했다.
이날 문승욱 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경남도, 창원시,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연구원, 경남테크노파크, 경남창원 스마트산단 사업단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해, 그간 추진사항 발표와 참석자들의 의견수렴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경남형 스마트산단 전략계획 수립용역’은 지난해 12월부터 이달10월까지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연구원, 경남테크노파크가 공동수행해왔다.
용역 주요내용은 ‘경남형 스마트산단 정책목표 및 추진방향 설정’, ‘ICT 융합 스마트산단 인프라 조성 아이템 발굴 및 사업화 전략 수립’, ‘교육·근로·정주여건 개선사업 및 일자리창출 실질소득 향상 방안 마련’, ‘경남형 스마트 산단 표준모델 정립 및 지원을 위한 정책제언’, ‘산업단지 제조혁신 추진과제 발굴 및 실행방안 전략 등이다 .
스마트산단 내 기업과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산업단지 차원의 제조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면 데이터의 공유·분석·활용을 통한 효용이 클 것으로 파악됐고, 생산공정의 자동화와 도로·교통·주차 인프라의 수요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근로자 인식분야에서는 공동주거시설 확충과 편의시설 및 교통시설에 대한 개선요구가 컸으며, 복합문화센터 및 국공립 보육시설 등의 수요도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회에서는 이러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람과 기업, 기술이 혁신하고 상생하는 글로벌 경남형 스마트산단’이 비전으로 제시됐다.
전체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액 4조 6000억원, 부가가치액 1조 9000억원, 고용 2만 1000여 명이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스마트산단 내 정보통신기술(ICT)기업 유치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미래형 산단의 터전을 다지고, 동부권 김해대동 산단과 서부권 진주·사천 항공산업 등과 연계해 경남의 산업을 선도하는 스마트 허브 산단으로서의 중심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도는 이러한 용역 결과를 토대로 정부가 지난해 12월과 올 6월에 발표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과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전략’에서 2030년까지 스마트산단 20개를 조성해 경남도에서 선제적으로 스마트산단의 추가선정과 기존 산단의 스마트화를 확산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문승욱 도 경제부지사는 “경남창원 스마트산단은 반월시화와 함께 전국 최초 스마트산단 선도프로젝트로 시도되고 있다”며 “이번 용역은 경남경제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경남형 스마트산단 전략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