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충북 청주 오송과 충주의 국가산단 후보지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대상에 선정돼 사업 추진이 탄력받을 전망이다.
22일 충북도에 따르면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와 충주 바이오헬스국가산업단지 후보지가 전날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자문위원회에서 예타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이 사업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타 조사를 받게 된다. 정부는 철저한 사업 타당성 검증을 실시해 지역수요에 부응하는 적정 규모로 산업용지를 공급할 계획이다.
예타 조사는 공기업 등 공공기관이 시행하는 총사업비 1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신규 사업의 타당성을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조사한다. 이어 신규 투자를 공정하게 결정하는 제도다.
오송과 충주 국가산단 조성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충북 바이오헬스 혁신·융합 벨트 구축의 핵심이다. 지난해 8월 국토교통부의 국가산단 후보지로 뽑혔다. 이번에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 실시 사업에 선정돼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다.
오송 제3생명과학단지는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에 8.47㎢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오는 2026년까지 3조3900억원의 투자유치를 통해 오송 1·2산단과 연계된 세계적인 바이오메카로 거듭난다. 도는 이를 통해 바이오산업뿐만 아니라 첨단 신산업 육성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송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품안전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등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을 비롯해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 등이 조성돼 있다. 20여 곳의 화장품 관련 기업과 210여 개의 바이오 기업·기관이 둥지를 틀고 있다.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단은 충주시 대소원면 서충주 신도시 인근 2.50㎢에 들어선다. 총 사업비가 5600억원 규모다. 바이오신약으로 특화한 오송과 의료기기로 특화된 원주를 잇는 중부권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벨트의 한 축을 담당한다. 충북 북부지역의 산업 거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국가산단 조성 단계에서 9조8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3만4000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2020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고 2021년에는 국가산업단지계획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청주시, 충주시와 함께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여 예비타당성조사가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