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초등학교 4학년‧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위주의 구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온 ‘서울시 학생‧아동 치과주치의 사업’을 전국 최초로 사후예방관리 서비스로 확대하며 아동별 맞춤형 통합관리를 실시한다. 대상자도 현재 4학년, 지역아동센터 아동에서 특수학교·장애인복지시설 이용자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학생‧아동 치과주치의 사후예방관리 서비스를 내년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학생·아동 치과주치의가 기존에 대상 아동들에게 건강검진 중심의 포괄적 구강관리서비스를 제공했다면(학생 연간 4만원, 아동 40만원 지원), 내년부터는 구강검진을 받은 학생들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치료나 구강보건 교육 콘텐츠 등 개인별 맞춤형 예방리포트를 제공한다. 검진을 받아야 할 시기에 아동 개인 휴대폰으로 알림도 해준다. 평소 아이의 양치질 습관에 따라 어느 부위를 더 닦아야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칫솔질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며 양치질 습관도 점검해준다.
서울시 ‘학생‧아동 치과주치의’는 영구치‧유치의 혼합치열이 종료되는 초등학교 4학년과 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서울시가 2012년 전국 최초로 시행했다. 아동이 시 협업 치과병‧의원을 방문하면 구강검진, 교육, 진료 등 체계적인 구강관리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서울시 치과주치의 전산시스템(덴티아이)’을 통해 학생의 구강정보를 원스톱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서비스도 계속 이용할 수 있다. 학부모는 ‘서울시 치과주치의 전산시스템(덴티아이)’를 통해 상세검진 결과를 쉽고 빠르게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문자로 검진 결과를 받아보고, 온라인으로 문진표를 작성할 수 있다. 실시간 구강검진 결과 확인을 통한 예방관리가 가능하다.
치과 의료기관은 통계, 문진표, 결과 통보서를 한 번에 발송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서울시와 학교는 학생데이터 분석으로 미수검자, 중복대상자를 확인, 학생관리 문자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시는 ‘사후관리가 부족하다’는 치과주치의 사업 참여 학부모들의 의견을 반영해 사후관리까지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앞서 민관 협력으로 구축한 ‘서울시 치과주치의 전산시스템(덴티아이)’를 올해 25개 자치구로 확대했다.
전국 최초의 ‘서울시 학생‧아동 치과주치의 사업’을 통해 지난 8년간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6만여 명이 서비스를 받았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참여율도 45.4%('16년)→48.9%('17년)→64.3%('18년)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올해 참여율은 70.8%에 달한다.
시는 서울시 치과주치의 전산시스템(덴티아이)를 통해 구강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을 강화하고 학교, 의료기관, 보건소, 학생 이용자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서울시 치과주치의사업 연구결과에서 사업 대조군에 비해 참여자는 11.7%의 영구치 우식유병률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학생, 학부모 만족도 조사에서는 90%이상 만족한다고 답했다.
박경옥 서울시 건강증진과장은 “서울시 학생치과주치의 사후예방관리서비스 체계 구축으로 학생들의 평생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지속성이 확보됐다”며 “앞으로 서울시교육청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학생 등 서비스 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