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내달 다자회의를 계기로 한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성과를 내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 장관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정상 차원의 회동이 가능하려면 일본 측의 전향적 태도와 성과가 담보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상회담이 성사되려면 회담 결과물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하는데, 수출규제와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와 관련한 일본 측의 입장 변화가 없다는 얘기다.
강 장관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이 공식 종료되는 11월 23일 이전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하는 정상급 국제회의(아세안+3 정상회의 및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한·일 정상회담이 추진되고 있느냐는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지금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없지만, 가능성이 없다고는 말씀드리지 않겠다”며 가능성은 열어놨다.
그는 그러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문제와 관련한 한·일 간 협의에 대해 “우리가 지난 6월에 제시한 1+1(한·일 기업의 자발적 위로금 출연) 방안을 포함해 여러가지 해법에 대해 외교당국 간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상호 입장에 대한 이해는 깊어졌다고 생각하지만 간극은 아직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승욱 이상헌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