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전성시’에 재시동 거는 유니클로…매장 늘리고 할인

입력 2019-10-20 11:27 수정 2019-10-20 11:35
유니클로

불매운동의 직격탄을 맞았던 유니클로가 최근 한국 영업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다시 적극적 확장 공세에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유니클로 대표 상품인 히트텍, 플리스 등이 인기를 얻는 계절이 돌아오면서 유니클로에 손님이 줄을 선다는 글도 올라온 만큼 유니클로가 겨울 성수기를 앞두고 매출 회복을 노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유니클로는 지난 8월 롯데몰 수지점을 연 데 이어 지난달엔 엔터식스 안양역사점과 스타필드시티 부천점을 잇달아 개장했다. 타임스퀘어 영등포점과 아이파크몰 용산점도 재단장 후 새롭게 열었다.

지난 7월 일본 불매운동이 시작된 후 이마트 월계점과 AK플라자 구로점, 롯데마트 구리점은 계약 만료와 백화점 철수 등의 이유로 문을 닫았다. 하지만 최근 새롭게 개장한 매장들을 포함하면 현재 유니클로 매장은 지난해보다 1개 늘어 187개가 됐다.

아울러 유니클로는 이달부터 내년 신입사원 채용을 위한 설명회도 연다. 지난해 설명회가 3주였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5일로 크게 줄었지만, 올해 설명회에는 다양한 직무에서 근무하는 유니클로 직원들과의 대화 프로그램이 새롭게 마련됐다. 불매운동으로 추락한 회사 이미지를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나아가 유니클로는 할인과 협업 등 상품 마케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 3일부터 진행 중인 ‘유니클로 15주년 감사 세일’이 대표적이다. 이 할인행사는 유니클로의 대표 상품을 최대 50%까지 할인하는 것으로, 그간 유니클로가 정기적으로 해왔던 행사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이례적인 할인 폭이다.

또 히트텍, 플리스 등 유니클로의 전통적인 ‘효자 아이템’이 가을·겨울 시즌을 맞아 시장에 나오면서 온라인에선 일부 제품이 품절되기도 했다. 계속되는 불매운동에도 불구하고 유니클로의 효자 아이템들은 온라인에서만큼은 변함없는 인기를 이어가고 있었던 셈이다. 이를 뒷받침하듯 최근에는 한산했던 유니클로 매장에 옷을 입어보기 위해 줄을 서는 손님들로 매장이 붐비고 있다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상 목격담도 속속 올라오고 있다.

유니클로는 영국 준명품 브랜드 ‘JW 앤더슨’(JW ANDERSON)과 협업 컬렉션을 출시하고, 고급 의류로 분류되는 캐시미어 컬렉션도 선보이는 등 상품군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7월 유니클로 홍대점 앞에 붐비는 시민들의 모습.

한동안 조용했던 유니클로가 이처럼 적극적으로 영업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자 일각에서는 ‘잠시 소극적이었던 유니클로의 영업전략이 다시 확장으로 방향을 수정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패스트리테일링의 야나이 다다시(柳井正·70) 회장이 최근 인터뷰에서 ‘불매운동에도 한국에서의 사업계획을 변경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 이런 전망에 힘을 실었다.

하지만 유니클로 측은 영업 강화와 불매운동의 연관성을 부인했다. 유니클로 관계자는 “매장 개장이나 채용설명회, 신제품 출시는 모두 올해 사업전략을 짜면서 예정돼있었다”며 “(불매운동에 따른) 매출 변동으로 변동될 사안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최근 온라인 구매 혜택이 커지면서 품절 사태도 벌어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19일 오후 부산 부산진구 서면 롯데백화점 지하상가 유니클로 매장 앞에서 부산노동자겨레하나 회원이 종군 위안부 할머니를 조롱하는 듯한 광고를 내보낸 일본기업 유니클로를 규탄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유니클로는 최근 공개한 광고가 위안부 할머니를 조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하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1인 시위의 불씨를 지폈다. 다른 국가의 광고에는 없었던 “맙소사, 80년도 더 된 일을 기억하냐고?”라는 자막이 실리면서 문제가 된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80년 전인 1930년대 후반에는 강제징용과 위안부 동원이 이뤄지던 시기였던 탓에 일각에서는 ‘일제 전범 피해자들을 조롱했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에 유니클로 측은 “특정 국가나 목적을 가지고 제작한 것이 아니다. (광고 속 모델) 둘의 나이 차이를 고려한 자막일 뿐이고, 국가나 역사적인 배경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