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사태’ 여당 책임론 확산에도 與 내부 공개비판 자제 기류

입력 2019-10-17 11:34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 이후 당내에서 확산 조짐을 보이는 자성·쇄신 목소리를 “내부분열을 초래한다”며 경계하고 있다.

정성호 의원이 페이스북에 “책임을 통감하는 자가 단 일명도 없다”며 자유한국당은 물론 민주당까지 여야 정치권을 싸잡아 비판하는 글을 올리는 등 당내에서는 ‘여당으로서 최근의 국론 분열 사태에 대해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조국 정국에서 중도층 민심이 떠나고 당 지지율이 하락한 것을 엄중히 보는 분위기도 있다. 당 지도부는 조 전 장관 사태 이후 국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검찰개혁이며, 당내 일부 비판의 목소리가 '자중지란'으로 번져서는 안 된다고 보고 수습에 주력하고 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1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내부의 비판을 하는 분들조차도 우리가 분열하는 것, 말하자면 ‘자중지란’을 일으키는 것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지율에 대해서는 “저희가 검찰개혁을 능력있게 해내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 등 핵심적인 개혁 내용을 관철해나간다면 개혁 지지층이 다시 결속하고 (한국당과의) 지지율 격차는 다시 벌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원내대표는 BBS 라디오 ‘이상휘의 아침저널’에서도 “사과와 유감의 표명은 여러 차례 했다고 생각한다”며 “민생과 경제 활력에 능력 있는 집권당의 모습을 보이고 장외로 나간 야당까지 설득해 국회 전체가 민생을 보살피는 일을 제대로 해내는 게 책임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전날 김해영 최고위원이 지도부로서는 첫 사과 메시지를 낸 것 이외에 민주당 지도부는 조 전 장관에서 비롯된 국론분열 사태 등에 대해 추가로 유감 표명을 할 계획은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해찬 대표 등이 사과를 할 계획은 없다”며 “이미 상황이 끝났고 저희는 일단락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그러나 지도부의 수습 움직임과 별개로, 당내 비주류 의원들을 중심으로는 당이 어떤 식으로든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거나 인적 쇄신 등을 단행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당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두세달에 걸쳐 나라가 시끄러웠으니 여당으로서 거기에 대해서 무한책임이 있지 않으냐고 지적했다고 한다.

다만 민주당에는 과거 중대 고비마다 분열로 고난을 겪은 트라우마가 있어 더는 공개적인 자성이나 비판의 목소리는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문재인 정부 집권 후 비교적 단일대오를 유지해오면서 비주류의 목소리가 크지 않고, 총선 공천 등도 앞두고 있어 선뜻 의견을 제기할 의원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