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방일 앞두고 한·일 국장급협의 개최…양국 입장 여전히 평행선

입력 2019-10-16 17:30 수정 2019-10-16 18:03
이낙연(왼쪽) 국무총리와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연합

첨예한 갈등을 이어가고 있는 한·일 관계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김정한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과 타키자키 시게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16일 한·일 국장급협의를 가졌다. 이낙연 국무총리의 다음 주 방일을 앞두고 한·일 외교라인이 분주하게 움직인 것이다. 다만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와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에 대한 양국 간 입장 차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김 국장과 타키자키 국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청사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강제징용 판결 문제 등에 대해 상호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양국 국장은 2시간여 동안 각종 현안은 물론 오는 22일 나루히토 일왕 즉위식에 참석할 예정인 이 총리와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간의 면담 일정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일본통’인 이 총리는 이번 방일 때 한·일 갈등 해소를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를 아베 총리에게 전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일 관계에 정통한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 총리와 아베 총리 간의 면담과 관련,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하는데 최종 확정은 아직 안 됐다”며 “180여개국이 (즉위식에) 참석하기 때문에 (아베 총리가) 시간 짜내기가 빡빡하지만 요청은 해놨다”고 밝혔다.

다키자키 시게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16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청사에서 열리는 한일 국장급협의에 참석하기 위해 청사에 들어서고 있다. 최현규 기자

한·일 갈등의 근본 문제로 꼽히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입장차가 큰 상황이다. 이 당국자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에 대해 “(양국 간) 간극은 꽤 커 시간이 필요하다”며 “여러 요소가 어떻게 문제가 되는지 일본 측의 생각이 무엇인지 디테일하게 묻고 확인 중인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우리 측은 지난 7월 본격화된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에 대해서는 보복성 성격을 재차 지적하면서 조속 철회 필요성을 강조했다. 수출규제 강화 조치 문제 해결을 위해 수출당국 간 대화 강화의 필요성도 전달했다.

다만 양국 국장은 다음 달 22일을 끝으로 최종 종료되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에 관해서는 특별한 논의를 하지 않았다.

한편 타키자키 국장은 김 국장과의 협의에 앞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오찬을 겸한 한·일 북핵수석대표 협의도 가졌다.

이상헌 손재호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