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결과를 한국당이 받아들여야 본격적인 보수통합 논의도 가능할 것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탄핵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보수 진영이 살길이 없다는 것이다.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모임인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 행동’(변혁)을 이끌고 있는 유 의원은 이날 변혁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뜻을 밝혔다.
유 의원은 “(황 대표와) 따로 연락한 것은 없고, 양쪽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분이 좀 있다”며 “중요한 것은 만나는 게 아니다. (황 대표가) 탄핵의 강을 건너고, 개혁적 보수로 나와 낡은 집을 허물고 새집을 짓자는 제안에 진지하게 생각하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최근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탄핵의 결과를 받아들일 것’ ‘개혁 보수로 나갈 것’ ‘보수의 새 체제를 구축할 것’ 3가지를 보수 진영 통합의 원칙으로 내세웠다.
그는 한국당 내에서 바른미래당과의 통합에 반대 목소리가 나오는 데 대해 “한국당 의원님들의 몫”이라며 “남의 당의 일에 말을 보탤 생각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의원들이라고 생각이 다 같은 것은 아닐 것이고, 영남 의원들이라고 생각이 다 같은 것은 아닐 텐데 어쨌든 한국당 안에서 그 생각이 정리되기 어려운 상태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국민의당 출신 변혁 의원들이 한국당과의 통합에 반대하지 않겠나’는 질문에는 “솔직한 대화를 해봐야 한다”며 “제가 제시한 원칙에 대해 국민의당 출신 의원들이 ‘저 정도면’이라고 생각해주면 좋겠다”고 답했다.
앞서 유 의원은 변혁 회의에서 “선거법이나 국회법은 다수가 숫자의 힘으로 고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다수가 유리한 대로 마음대로 법을 고치는 것은 국회의 관행에 어긋나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발언했다.
이어 “국회법은 국회를 어떻게 운영하는지에 대한 내용이고, 선거법은 국민이 대표를 어떻게 뽑을지에 대한 게임의 규칙”이라며 “지금도 선거법은 합의에 의해 고쳐야 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남은 정기국회 기간 선거법 문제가 여야 합의로 개정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한국당도 자기들 선거법 안이 무엇인지 내놓고 여야 협상에 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