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전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중 절반에 가까운 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준의 라돈·세균이 검출됐다.
대전시는 15일 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수질안전성 강화대책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는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에 대한 대전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수질검사 결과 보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길용 박사의 ‘자연방사성 물질 저감 방안’ 설명 등이 이어졌다.
시는 지난 7~9월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에 대한 미생물·일반세균·총대장균군·자연방사성 물질·A형 간염바이러스 등 50종에 대한 수질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전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103곳의 45.6%인 47곳에서 일반세균류 등이 검출됐으며, 전체의 27.1%인 39곳은 자연방사성 물질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준치 초과 시설을 임시 폐쇄 조치한 시는 이달 중 각 자치구 홈페이지를 통해 세부사항을 공개할 계획이다.
일반세균류가 검출된 시설의 경우 배관청소·염소소독을 통해 수질을 개선하고, 급수 시설 내 자외선(UV) 살균기 설치 등을 검토한다.
고농도 방사성물질 검출 시설과 관련해서는 학술 용역과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한국지질연구원과 함께 맞춤형 라돈저감 장치를 개발해 공동특허를 출원한다는 계획이다.
박월훈 대전시 시민안전실장은 “민방위 사태 뿐 아니라 일반 재난상황 발생 시에도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