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900명 규모의 민·관·군 합동포획팀이 15일부터 야생멧돼지 포획 작전에 착수했다. 야생동물을 잡기 위해 대규모 민·군 합동작전이 실시되는 것은 창군 이후 처음이다.
국방부와 환경부는 15일 “남방한계선(GOP)과 민통선 구간 내 야생멧돼지 출몰·서식 지역을 대상으로 민·군의 모든 가능한 자산을 동원해 포획조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야생멧돼지 포획 작전은 경기도 파주와 연천, 강원도 화천·인제·양구·고성·철원군 등 ASF가 발생했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전방 접경 지역에서 전개된다. 야생멧돼지 포획을 위해 민간 엽사와 군 병력, 감시장비 운용 요원을 비롯해 11~12명으로 구성된 70~80개 민·관·군 합동포획팀이 투입된다. 야생멧돼지가 자주 발견되는 지역에는 미끼를 살포해 생포할 수 있도록 포획틀도 설치될 예정이다.
ASF가 발생한 지역에는 차단 시설을 설치한 뒤 합동포획팀을 투입해 야생멧돼지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해당 지역 군단장 지휘 하에 주·야간에 포획조치가 실시된다”며 “군 저격수뿐 아니라 야생멧돼지 포획에 전문성이 있는 베테랑 민간 엽사들도 다수 투입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2일간 포획 조치를 실시한 뒤 안전성과 실효성 등을 검토해 본격적으로 야생멧돼지 포획에 나설 계획이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지난 12일 합동참모본부 의장과 각 군 총장, 군단장 등이 참석하는 ASF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민통선 내 야생멧돼지 포획 방안을 논의했다. 박한기 합참의장은 지난 14일 지상작전사령관, 접경지역 군단장 등과 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포획작전을 세웠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