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고품질의 수돗물 확보와 24시간 상시공급을 위해 상수도 종합 관리 마스터플랜을 수립했다고 15일 밝혔다. 시는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수도 사업 전반에 대한 문제점을 살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마스터플랜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시는 우선 부산지역 상수도 불신의 근본 원인이 상수원수로 낙동강 물을 사용한다는 데 있다고 보고 3가지 극복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낙동강 물 보다 좋은 청정원수를 확보하고 낙동강 상류의 수질을 개선한다. 또 현재의 정수장의 미량유해화학물질을 전량 제거하기 위해 막 처리공법(NF, RO막 등) 도입을 제시했다.
아울러 최근 인천시의 수돗물 오염 사태 등을 사례로 관로에서의 수질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해 주기적인 관 세척을 추진키로 했다. 400㎜이상 중·대형관은 관 세척 시 단수가 불가피하므로 관로의 이중화나 네트워크화 사업을 통해 단수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또 24시간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관로의 블록화 사업 및 배수지 확충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블록화 사업은 관로에서 수량·수압·수질의 관리는 물론 한 노선에 누수가 생기면 다른 관로를 통하도록 해 수돗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관로파손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 설치된 배수지 시설도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부산은 대규모 정수장이 낙동강 주변인 부산의 서쪽에 치우쳐 있어 정수 후 가정까지 물을 보내고 있어서 배수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부산시는 마스터플랜에 포함된 사업들을 추진하기 위해 많은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하고, 효율적인 경영관리 계획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
이을 위해 기존 관로나 기계, 전기시설물 등에 대해 법정 사용 가능 햇수에 상관없이 오래 사용토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내년부터 자산관리시스템을 도입,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이근희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이번 상수도 마스터플랜은 전국 최초로 시가 자체적으로 만든 상수도 관련 종합계획이다”면서 “상수도 사업은 우리 세대뿐만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므로 멀리 내다보고 투자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