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가장 많이 거래된 아파트는 입주 11~20년 이하”

입력 2019-10-15 13:27

서울에서 입주연차 구간별로 가장 많이 거래된 아파트는 입주 11~20년 이하 아파트로 조사됐다.

부동산114는 국토교통부의 최근 3년간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입주 11년~20년 이하 아파트의 매매 거래비중은 41.6%로 타 입주연차 구간에 비해 높았다고 15일 밝혔다.

이어 입주 21~30년 이하(24.5%), 10년 이하(22.3%), 30년 초과(11.6%) 순으로 거래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업계는 입주 11~20년 이하 구축 아파트의 거래비중이 높은 이유에 대해 주택시장이 실수요 위주로 재편된 영향이 컸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실수요 입장에서는 비싼 새 아파트나 투자성이 강한 재건축 아파트보다 합리적인 가격대에 준수한 품질을 갖춘 구축 아파트를 선택하는 편이 덜 부담되기 때문이다.

서울 지역에서 입주 10년 이하인 아파트와 11~20년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차이는 1억원 이상이었다.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을 입주연차 구간 별로 살펴보면 10년 이하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9억714만원, 30년 초과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10억725만원이었다.

반면 11~20년 이하 아파트의 평균매매가격은 7억9193만원으로 4억원대 현금을 보유했다면 대출을 받아 매수할 수 있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전세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보증금 평균이 4억1896만원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전세 임차인이 매매 전환하기에도 큰 부담이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가격으로만 따지면 입주 21년~30년 이하 구간 아파트가 가장 저렴하다. 입주 21년~30년 이하 구간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5억7249만원으로, 11~20년 이하 아파트에 비하면 2억원 가량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년~30년차 아파트의 거래비중이 낮은 이유는 노후가 심해 주거환경이 불편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는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신축보다 구축의 거래가 활발해 선호도와 실제 매매 거래간 다소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고 본다. 인기 높은 새 아파트의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음에도 가용자금이 한정된 실수요가 차선의 선택을 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신축 중심의 서울 아파트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고, 청약 당첨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거환경을 갖춘 구축 아파트에 눈을 돌리는 것이 내 집 마련의 틈새시장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