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조국, 뒤늦은 사퇴” 평가…성과 자평하면서도 일각선 우려

입력 2019-10-14 17:32 수정 2019-10-14 17:33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자유한국당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황교안 대표가 현안 관련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9.10.14.

자유한국당은 14일 조국 법무부 장관 사퇴 소식에 “뒤늦은 사퇴”라고 평가했다. 조 장관을 낙마시킨 성과를 자평하면서 향후 수사가 엄정히 진행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이제부터가 문제”라는 우려도 있다. 총선을 6개월 앞두고 조 장관 사태에 대한 ‘반사이익’을 누렸지만 그 효과는 이제 사라질 거라는 시각이다.

김성원 한국당 대변인은 14일 브리핑에서 “그간 가족의 수사를 방해하며 법치를 무너뜨리고 국민을 기만해온 조국의 사퇴는 지금도 그 때가 늦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국정운영 지지율과 집권여당 지지율 폭락이 나오고 나서야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대통령은 무자격 장관을 임명해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뜨린 것에 대해 국민에게 사죄하고 조국과 조국 가족에 대한 엄정한 수사로 법치와 민주주의를 정상화시켜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현아 원내대변인도 논평에서 “조국 장관이 사퇴했다. 사필귀정이지만 너무 늦었다”며 “대한민국을 두 동강을 내고 민심이 문 정부를 이미 떠난 뒤늦은 사퇴다. 대통령과 여당은 만시지탄임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나긴 싸움이었다. 상식과 몰상식의 싸움이었고, 정의와 불의의 싸움이었다”며 “잘못된 인사에 대한 대통령과 여당의 분명한 사과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 대변인은 “윤석열 검찰총장은 조국 사퇴와 상관없이 조국 일가의 불법과 편법을 법과 원칙에 따라 철저히 수사하고 그 실태를 국민께 밝혀야 할 것”이라며 “이것이 진정한 대한민국 검찰 개혁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자유한국당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황교안 대표가 현안 관련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9.10.14.

내부에서는 두 달여 간 ‘조국 사태’를 끌어오면서 각종 비위 의혹을 검증·고발한 것이 통했다는 자신감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그간 야당의 반대에도 장관 임명을 강행해왔다. 이에 대해 한국당 내부에서는 무기력하다는 자조도 나왔다. 그런데 정부의 상징적 인물 중 하나인 조 장관이 낙마하면서 자신감이 붙었다는 것이다. 황교안 당 대표 등의 ‘삭발 투쟁’도 효과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법사위 한국당 간사인 김도읍 의원은 “정권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서초동 촛불 민심만 민심이라 했지만, 국민을 이기는 권력은 없다”며 “이번 일은 진정한 자유민주주의 시민들의 승리”라고 평가했다. 곽상도 의원은 “부산대 의전원 장학금 수령 의혹부터 시작해 매일 하루에 한 건 정도는 새로운 의혹을 밝히려고 자료 요구와 분석에 충실했다”며 “저희가 단서를 제공하는 등 약간의 역할은 했지만 결국 광화문에 나와주신 국민의 힘으로 정부가 꼼짝 못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조국 사태’로 인한 반사이익을 누렸지만 이제 조 장관이 사퇴하면서 여론이 급격히 움직일 거라는 관측이다. 여권 지지자를 비롯, 일부 중도층에서도 조 장관에 대한 동정 여론이 일어날 수도 있다. 한 한국당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오로지 ‘조국 사퇴’만 외치면 됐지만 이제는 당 자체로 승부해야 하는 시점이 됐다”며 “총선이 6개월 남은 상황이라 지금 올라온 지지율을 유지해나가는 것이 과제”라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