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550호인 제주 재래 흑돼지의 변이된 유전자로 인해 일반 돼지고기와 구별되는 식감과 풍미가 나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의 14일 발표에 따르면 제주 재래 흑돼지의 유전자인 MYH3이 국내 일반 사육 돼지인 랜드레이스 종과 다른 변이 행태를 보였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MYH3은 돼지의 12번째 염색체를 구성하는 유전자 중 하나라고 전했다.
제주 재래 흑돼지는 랜드레이스 종과는 달리 MYH3을 구성하는 염기 중 6개의 염기가 결손됐다고 설명했다. 염기 결손으로 인한 변이 유전자가 제주 재래 흑돼지와 일반 돼지를 나누는 기준인 것이다.
연구진은 이 같은 연구 결과가 제주 재래 흑돼지의 맛을 결정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판단했다. 실제로 제주 재래 흑돼지의 근육 내 지방량과 적색육이 일반 돼지보다 3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등 맛이 좋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온 바 있다.
연구진은 이 변이 유전자 MYH3을 ‘육질 유전자’로 명명하고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했다. 또한 연구진은 돼지의 맛을 결정하는 육질 유전자 유무를 간편하게 판별하는 진단 키트를 개발해 국내와 일본에서 특허 등록을 마치고 중국과 미국, 캐나다, 유럽연합에서는 특허 등록 절차를 밟고 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