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 5마리째 ASF 검출… 철원·연천 총기사냥 허용

입력 2019-10-13 13:14 수정 2019-10-13 13:43
멧돼지 관리지역. 뉴시스

최근 접경지역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연이어 검출되면서 정부가 멧돼지의 이동을 적극적으로 제지하는 방안을 내놨다. 지난 2일과 12일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확인된 경기 연천군과 강원 철원군 내 일부 지역을 ‘집중사냥지역’으로 지정해 총기를 이용한 야생멧돼지 포획을 허용하기로 했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아프리카돼지열병 상황점검회의에서 “연이틀 철원과 연천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내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4건 확인됨에 따라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에 따른 긴급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근 야생멧돼지에서 5마리째 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데 따른 긴급조치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2일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진현리 민통선 내 군부대에서 신고한 멧돼지 폐사체 2개에서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이날 밝혔다. 앞서 지난 2일 경기 연천군 비무장지대(DMZ) 안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1마리에서 ASF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됐다. 12일에 연천군 왕징면 강서리에서 살아있는 채로 발견된 멧돼지 1마리와 철원군 원남면 진현리에서 폐사체로 발견된 1마리에서 ASF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정부는 ▲감염위험지역 ▲발생·완충지역 ▲경계지역 ▲차단지역 등 4개 관리지역으로 구분해 멧돼지를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된 철원·연천 내 일부지역은 감염위험지역으로 지정됐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반경 5㎢ 이내는 감염지역, 30㎢는 위험지역, 300㎢는 집중사냥지역으로 구분한다.

감염위험지역 테두리에는 멧돼지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철책을 설치키로 했다. 위험지역에는 포획틀(10개)과 포획트랩(120개)을 설치해 멧돼지를 잡는다. 집중사냥지역은 멧돼지 이동저지 방안을 마련하는 대로 총기를 사용한 포획도 바로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돼지와 멧돼지에서 ASF가 발생한 강화·김포·파주·연천·철원 등 5개 시·군은 ‘발생지역’으로, 고양·양주·포천·동두천·화천 등 인접 5개 시·군은 ‘완충지역’으로 지정됐다. 발생·완충지역에서는 총기 포획은 금지하고 이달 말까지 포획틀과 포획트랩을 확대 설치한다.

또 서울과 인천, 북한강 지역과 남양주·가평·춘천·양구·인제·고성·의정부 등 46번 국도 이북 7개 시·군은 ‘경계지역’으로 설정해 멧돼지 전면제거를 목표로 14일부터 집중 포획을 실시한다.

환경부는 경기 연천군 내 비무장지대(DMZ)에서 지난 2일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사진은 바이러스가 검출된 멧돼지. 연합뉴스=환경부 제공

아울러 정부는 무료 수렵장과 멧돼지 일제 포획주간을 운영하고 마리당 10만원씩 포획 보상금을 지급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시·군 포획단이 농업인의 피해신고 없이도 멧돼지를 포획할 수 있는 지역을 양돈농가 주변에서 시·군 전체로 확대하기로 했다. 경계지역 경계선 둘레 폭 2㎞ 구간은 ‘차단지역’으로 설정해 야생멧돼지를 전면 제거한다. 민간 엽사와 군 저격요원이 민통선 일대 멧돼지를 특정 조건 하에서 사살 작전을 수행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접경지역의 주둔지, 민통선에서 비무장지대(DMZ) 일대에 대한 일제 정밀수색과 주기적인 예찰도 실시된다. 열상용 드론을 활용해 민통선 지역 감염 멧돼지를 정밀 탐색하고, 시료 채취 후 이동시간을 줄이기 위해 군 헬기도 적극 동원한다.

농장단위 방역도 한층 강화한다. 강원도의 경우 남방한계선으로부터 10㎞ 이내 희망하는 모든 양돈농장에 대해 전량 수매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 양돈농장의 멧돼지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경기·강원지역 전체 농가의 울타리 설치 여부를 집중 점검하고 멧돼지 등 야생동물 기피제를 농가당 5포씩 긴급 배포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야생멧돼지로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추가로 확산하지 않도록 관계 부처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일 경기 연천군 비무장지대(DMZ) 안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1마리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됐다. 열흘 뒤인 12일에는 경기 연천군 왕징면 강서리에서 살아있는 채로 발견된 멧돼지 1마리와 강원 철원군 원남면 진현리에서 폐사체로 발견된 1마리에서 ASF 바이러스가 확인돼 인근 양돈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