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리콜 겪은 ‘쎄타2GDi’ 탑재 52만대 ‘평생 보증’…고객 신뢰 회복할까

입력 2019-10-11 17:11

현대·기아차가 엔진 결함으로 2년 전 대량 리콜됐던 쎄타2GDi 차량 국내 고객들에게 ‘엔진 평생 보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리콜 당시 미국에 비해 ‘늑장 대응’ 비판을 받았지만 보상과 장기 보증으로 고객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취지다.

현대·기아차는 쎄타2GDi 차량을 대상으로 엔진 예방 안전 신기술인 엔진 진동감지 시스템(KSDS) 적용을 확대하고, 이 차량들에 대해 엔진을 평생 보증한다고 11일 밝혔다. 엔진 결함을 경험한 고객에게도 보상을 제공한다. 대상 차량은 쎄타2GDi, 쎄타2터보GDi 엔진이 장착된2010~2019년형 현대차쏘나타(YF/LF), 그랜저(HG/IG), 싼타페(DM/TM),벨로스터N(JSN),기아차 K5(TF/JF), K7(VG/YG), 쏘렌토(UM), 스포티지(SL) 총 52만대다.

기존 보증기간이 만료돼 콘로드 베어링소착으로 엔진을 유상 수리한 고객에게 수리비용과 외부업체 견인 비용을 보상한다. 엔진결함으로 인한 화재로 손실을 입은 고객에게는 보험개발원에서 발표하는 ‘차량 보험 잔존가’ 기준으로 보상한다. 부품 결품으로 인한 수리 지연, 엔진 결함 경험 고객이 현대·기아차를 재구매할 경우 별도 보상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에서는 쎄타2GDi 엔진 집단 소송 고객들과 화해안에 합의하고 10일(현지시간) 미국 법원에 화해 합의 예비 승인을 신청했다. 2011~2019년형 쎄타2GDi 차량에 대해 KSDS 적용, 평생보증, 국내와 동등한 수준의 보상을 시행키로 했다.

현대·기아차는 쎄타2GDi 차량에서 미국과 한국공장 엔진 제조과정에서 각기 다른 이유로 시동 꺼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발견해 리콜을 실시했다. 미국에서 2015년 9월 현대차 47만대, 2017년 3월 현대·기아차를 합쳐서 추가 119만대를 리콜했다. 국내에서는 2017년 4월 현대·기아차 17만대를 대상으로 자발적 리콜 조치했다.

당시 국내 리콜계획서에 따르면 기계 불량으로 금속 이물질이 발생하면서 크랭크샤프트와 엔진 내 다른 부품인 베어링의 마찰이 원활하지 못한 ‘소착 현상’이 발생한 것이 결함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는 주행 중 시동 꺼짐이나 엔진 파손 등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는 문제였다.

그러나 미국보다 2년 늦은 리콜 조치로 국내 고객 사이에서 늑장 대응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현대·기아차는 국내 리콜이 늦어진 이유로 “결함의 원인이 달랐다”고 주장했다.

반면 검찰은 현대·기아차가 결함 문제를 알고도 의도적으로 즉각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지난 7월 서울중앙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형진휘)는 현대·기아차 품질 담당 전직 임원 3명에 대해 엔진 결함을 알고도 리콜 조치를 지연한 혐의(자동차관리법 위반)로 불구속 기소했다. 현대·기아차 법인도 같은 혐의로 기소됐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2015년 8월쯤 국내 판매 차량들의 결함을 인지했으나 이를 고객에게 알리지 않고 18개월 늦게 리콜 조치한 혐의를 받고 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