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은 11일 육·해·공군 3군 통합기지인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의 ‘국방개혁 2.0’ 정책 추진 현황을 보고했다.
육군에 따르면 현재 대상 부대 2053개 중 602개(29.3%)에 대한 개편이 완료됐으며, 2025년까지 나머지 1451개 부대의 개편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특히 육군 병력은 올해 46만4000명에서 2022년 36만5000명으로 9만9000명가량이 줄어든다. 올해 병력 감축 규모는 2만명이다. 군단은 2022년까지 8개에서 6개로, 사단은 2025년까지 38개에서 33개로 줄이기로 했다.
육군은 병력 감축에 따른 전투력 약화를 보완하기 위해 군인은 전투 임무 중심으로, 민간 인력은 비전투 임무 중심으로 각각 재편하고 핵심 군사 능력을 적기에 전력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사단정찰용 무인항공기(UAV), 한국형 기동헬기, 차륜형 장갑차, 대포병탐지레이더-Ⅱ 등 필수전력의 전력화가 추진되고 있다. 현재 79개 부대개편 필수전력의 전력화 진도율은 52% 수준이다.
육군은 이와 함께 미래전(戰)에 대비한 ‘차세대 게임 체인저’ 개발 추진 계획을 밝히면서 차세대 무기체계로 레이저, 사이버·전자전, 인공지능 무기, 초장사정 타격체계, 고기동 비행체 등을 거론했다. 또 근거리에서 소형드론을 제압할 수 있는 레이저 대공무기 개발을 올해부터 2023년까지 추진하고, 원거리에서 폭발물을 탐색·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 폭발물 처리기를 장기 신규 소요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6월 북한 목선의 ‘삼척항 입항’ 사건으로 허점이 드러났던 해안 경계 역량도 대폭 보강된다. 해안복합감시체계 성능 개량 및 기동형 통합감시장비·해안감시레이더-Ⅱ·육군경비정 대체전력 전력화 등이 2021년 이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