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국감서 ‘새만금 태양광사업’ 놓고 여야 공방

입력 2019-10-11 15:36
송하진 전북도지사가 11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진.

1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전북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새만금에 추진 중인 태양광 발전사업을 놓고 여야가 공방을 벌였다.

자유한국당 김영우 의원은 “새만금이 정치적 희생양이 되고 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맞물린다”며 “새만금의 10%에 가까운 면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다는 계획은 경제성이 떨어지고 환경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안상수 의원도 “새만금의 개발 목표는 항만과 공항을 중심으로 관광·물류·교육·레저로 가야 한다”며 “태양광 사업을 잘못하면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 폐패널에서는 구리, 납, 크롬 등 유독성 물질이 나와 친환경으로 가기 힘들다. 신중히 처리해 달라”고 요구했다.

바른미래당 권은희 의원은 해상 태양광 경제성을 따지는 상황에서 너무 성급한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여당 의원들과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전북의 미래와 새만금 개발을 촉진할 사업임을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의원은 “새만금에 패널만 까는 게 아니라 제조공장과 연구개발까지 하는 재생에너지 복합클러스터를 만드는 것이다. 태양광 사업으로 새만금이 다시 조명받는 게 가장 큰 소득”이라며 “전북이 도약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지속적인 추진을 주문했다.

같은 당 소병훈 의원도 “글로벌 기업은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해 운용한다. 우리나라도 대비해야 한다. 새만금 태양광과 풍력은 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사업을 옹호했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신재생 에너지사업은 문재인 정부 전부터 산업자원부 등을 통해 사업을 추진했다”며 “새만금에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게 목표이고 태양광은 새만금 전체 면적의 7.88%에 해당해 염려할 수준은 아니다”고 답했다.

또 송 지사는 “(태양광 사업은) 지금은 후퇴할 수 없는 상태이며 바람직스럽게 추진된다고 본다”며 “태양광 사업은 새만금 개발의 보조·보충적 기능이지 주된 사업은 아니다. 환경을 절대 훼손하지 않고 신재생 에너지사업이 도민 이익을 대변하고 환영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