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4당 대표가 11일 정치협상회의에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사법개혁안과 선거제 개혁안 처리 등을 위한 실무단 구성에 합의했다. 그러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의장 순방 전 회의 개최’에 합의한 적이 없다며 회의에 불참해 구체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문 의장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손학규 바른미래당·심상정 정의당·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 미팅룸에서 첫 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합의안에 따르면 실무단에 참여하는 인원은 국회의장과 각 당 대표들이 추천하는 1명씩 총 6명이다. 이날 회의에 배석한 한민수 국회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여야 대표들은 각종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고, 패스트트랙 안건 등 구체적 의제에 대한 논의는 황 대표가 참석하는 2차 회의부터 시작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어 “13일부터 예정된 문 의장의 해외 순방 기간 중 실무단이 구성될 것”이라며 “오늘 발표 내용은 간단하지만 많은 내용이 담겼다. 허심탄회하게 말했다고 할 정도로 많은 내용이 있었다”고 전했다. 정치협상회의는 국회의장과 ‘초월회’에 참석하는 여야 5당대표들이 주체이고, 향후 회의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운영된다. 2차 회의는 문 의장 해외순방 뒤인 21일 이후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한 대변인은 “실무단이 구성되면 2차 회의에 대한 논의는 의장 순방 기간(13~21일)에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치협상회의가 제대로 운영될 지는 미지수다. 이날 합의문에는 황 대표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고, 황 대표가 2차 회의 참석여부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 여야는 여전히 패스트트랙 법안·조국 법무부 장관 등에 대한 의견차를 좁히지 못한 상황이다. 다만 한 대변인은 “여야 모두가 국회의장 주재 회의에 참여하는 것이 맞다”며 “황 대표도 오늘 일정이 안맞아서 그런 것이지, 회의 자체에 대한 말씀은 없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