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오는 14일 국회에서 ‘소재·부품·장비 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의원과 노웅래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KAIST가 주관하는 이번 토론회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핵심 원천기술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계와 학계, 정부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는 분야별 기술현황 및 문제점과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원천 핵심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을 제안한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기반 경제 강국 전략’을 주제로 기조 발표에 나선다.
이어 소재 분과에서는 정연식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혁신소재-인류사의 게임 체인저’라는 주제로 인류사에서 소재의 의미와 발전사를 설명하고 산·학·연 상생방안 등 소재 분야 R&D 정책 방향을 제언한다.
부품 분과에서는 장재형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우리나라 부품산업 위기와 기회’를 주제로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당면 과제 및 부품사업 기술 경쟁력 확보 방안 등을 논할 예저이다.
또 장비 분과에서는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주) 회장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황 회장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한 기업의 전략을 소개하고 국가 전략기술 보유 기업의 육성과 지원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토론 패널로는 최성율 KAIST 소재부품장비기술자문단 단장, 권기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장동력기획과 과장, 김명운 ㈜디엔에프 대표가 참석한다.
토론자들은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력 확보 방안의 타당성을 비롯해 R&D 투자의 시의적정성, 정부 정책의 실효성 등 산업과 기술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박현욱 KAIST 연구부총장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핵심원천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산·학·연·관의 협력 방안을 찾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