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연합회가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와 한국산 자동차 관세 문제 등 통상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대미사절단을 파견했다.
전경련 대미사절단은 10일부터 11일까지 미 국무부와 상무부 등 행정부처와 주요 싱크탱크를 예방하고, 미국 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워싱턴 D.C. 미상의 본사에서 ‘제31차 한미재계회의 총회’를 갖는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제31차 한미재계회의에서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한 통상 현안 해소 방안, 북핵, 한일분쟁 등 동북아 지정학 리스크 점검, 혁신성장을 위한 양국 경제계 협력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사절단은 11월에 결정될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한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부과는 양국 모두에 이롭지 않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자동차부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 자동차 산업에 직격탄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 1월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최대 98억 달러(약 11조 6500억원)의 무역 손실을 입게 되고, 고용은 최대 10만명 감소하게 것으로 예상된다.
전경련 사절단은 데이비드 밀 국무부 통상 담당 부차관보와의 면담에서 북핵과 한일 갈등 등 최근 동북아의 지정학적 리스크 관련 대응협력을 요청했다. 특히 한일 갈등이 격화되는 상황이 미국의 국익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강조하며 사태가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열린 한미재계회의 환영리셉션에서 허 회장은 “한일 간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한미일 협력 균열과 한미동맹 약화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한미 양국이 교류의 지평을 넓혀 굳건한 한미동맹에 힘을 실어주고 건실한 경제협력도 이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미재계회의 총회에서 제출할 공동성명서에는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 대상에서 한국을 확실하게 제외해줄 것을 요청하고, 미국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상계관세 등 직접적인 수입규제 조치를 줄여나갈 것을 주문할 예정이다.
이번 31차 한미재계회의에는 한국측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김희용 동양물산기업 회장 등이 참여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