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국회에서 경북도당과 예산정책간담회를 열어 경북 지역 예산·정책 과제를 점검하고 지원책을 논의했다. 경북지사가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 아닌 만큼 회의 명칭은 ‘협의회’가 아니라 ‘간담회’라는 이름이 붙었다. 자유한국당 소속인 이철우 경북지사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경북은 제가 당 대표가 취임한 후에 첫 현장 최고위를 개최했던 만큼 당에서 각별한 애정을 가진 전략 지역”이라며 “경북에 필요한 예산을 적극 챙겨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난해와 올 상반기 예산정책 협의를 통해 경북에 여러 성과가 있었지만, 가장 큰 성과는 (지역상생형 일자리 모델인) ‘구미형 일자리’ 타결”이라며 “최대한 지원해서 활력을 만들어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경북은 우리 당으로서는 험지이긴 하나 지난해 지방선거를 거치며 굳건했던 지역주의에 크고 작은 변화가 확인됐다”며 “당은 경북도와 도민 여러분 삶을 더욱 세심히 챙기도록 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구미형 일자리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경북 지역 경제의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는 것은 사실이나 영세 자영업자들은 여전히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영세 소상공인을 위한 특례보증제도 활용과 홍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또 “한·일 경제전과 소재·부품 국산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수행하는데 경북의 소중한 자원을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며 “탄소섬유 등 첨단 신소재 부품의 연구개발 사업들이 이미 추진 중인데 국비 지원이 충분히 잘 이뤄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윤관석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발표한 내년도 289개 생활형 SOC(사회간접자본) 사업 가운데 경북이 인구 규모가 4배 많은 경기도(44건, 1756억원) 다음으로 많은 30건, 946억원을 확보했다. 예산에서는 ‘TK 패싱’이라는 말이 더 안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태풍 ‘미탁’ 여파에 따른 경북 지역 피해 복구를 위한 후속 대책 마련에 주력하겠다는 뜻도 내보였다.
이 대표는 “경북 울진과 영덕이 강원도 삼척과 함께 피해가 가장 큰 지역”이라며 “세 지역은 중앙합동조사에 앞서 오늘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예정이다. 가용한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신속한 피해 복구가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도 “특별재난지역 선포 이후에도 피해가 확인되면 그것들도 계속 챙기도록 하겠다”고 했다.
경북 구미을 지역위원장인 김현권 의원은 “경북에서는 요즘 구미를 보라는 얘기가 나온다”며 “민주당 시장을 뽑아놨더니 굵직굵직한 사업들이 구미에서 이뤄지지 않느냐며 경북도 정치적으로 변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가 곳곳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