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신청사 부지 선정 기한이 다가오면서 유치전에 뛰어든 기초단체들이 선정방식 등을 놓고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0일 대구 달서구 등에 따르면 ‘달서구시청사유치범구민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지난 8일 주민 2500여명이 참여한 공정한 신청사 부지 선정 촉구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집회 후 ‘시민참여단 확대’ ‘내정설 OUT’ 등의 내용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반월당(2.3㎞)까지 거리행진을 벌였다.
추진위는 촉구문을 통해 “신청사 특정 지역 내정설이 돌고 있지만 지역사회는 침묵하고 있고 신청사 최종 후보지 결정에 참여하는 시민참여단도 비전문가인 시민들이 중심이 돼 공정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구시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가 지난달 말 시민참여단 252명(시민 232명, 전문가 10명, 시민단체 10명) 구성 방침을 밝힌데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것이다.
추진위 관계자는 “비전문가인 시민들은 자기 지역으로 유치하는 쪽으로 결정할 가능성이 높아 사실상 이해관계인이기 때문에 시민참여단에 외부 전문가 수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중구 시청사 현 위치 건립 추진위원회도 지난달 25일 대구시청 앞에서 시청 이전을 반대하는 ‘시민 한마음 다짐대회’를 열었다. 중구 주민과 상인 등 2000여명이 참여해 시청사(본청)를 돌며 시청사 현 위치 존치 퍼포먼스를 펼치기도 했다.
공론화위 관계자는 “특정 지역 내정설 등은 근거 없는 가짜뉴스고 조례상 시민참여단은 250명 내외로 제한하고 있어 수를 늘리는 건 어렵다”며 “시민참여단은 무작위 표집 후 면접조사를 거쳐 구성되고 2박 3일 동안 학습과 토론 등을 거치기 때문에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공론화위는 이달 중 후보지 신청 공고를 하고 12월 중 시민참여단을 구성해 최종 후보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한편 신청사 유치전에는 중구(현 위치 존치)와 북구(옛 경북도청 터), 달서구(옛 두류정수장 터), 달성군(화원읍 한국토지주택공사 분양홍보관 인근)이 참여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대구=글·사진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