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 신재생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자립마을이 3곳 조성된다.
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추진하는 ‘2020년 신재생 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에 따라 남구 장생포 고래마을 등 울산 3곳을 에너지 자립마을로 조성한다고 10일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은 지방자치단체와 민간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주택과 공공·상업용 건물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2종 이상의 에너지원을 설치, 에너지 자립마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에는 전국 92개 지역이 대상지로 선정됐다.
울산에서는 남구 장생포 고래마을(태양광 39가구, 지열 1곳, 연료전지 1곳), 동구 대왕암 슬도마을(태양광 288가구), 북구 강동 산하지구(태양광 169가구, 지열 3곳) 등 3곳이 에너지 자립마을로 거듭나게 된다.
사업비는 국비23억 2000만원, 시비 16억 9000만원 등 총 49억 6000만원이 투입된다.
신재생에너지보급 융복합지원사업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살펴보면, 월간 전력사용량이 350㎾h정도(5만 5000원)를 사용하는 가구에 태양광 발전설비(3㎾)를 설치할 경우를 기준으로 연간 62만원 정도의 전기요금이 절감된다.
울산시는 다음달부터 설계를 위한 사전 실사에 들어가, 내년 초 기본설계에 이어 태양광 패널 설치 등 본격적인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에 나서기로 했다.
울산시는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을 통해 새로운 친환경 랜드마크를 만들어내고, 친환경 에너지 보급을 통한 지역주민의 전기요금 절약은 물론 침체된 지역 조선업의 위기 극복과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박순철 울산시 혁신산업국장은 “에너지 산업도시 울산이 태양광과 수소연료전지 등 친환경 에너지 보급에도 전국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