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포항문화재단은 오는 13일 칠포리 암각화 발견 30년 기념 학술대회 ‘영일만 선사문화와 암각화’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포항문화재단, 한국암각화학회, 울산대학교 반구대암각화유적보존연구소가 공동으로 마련한다.
우리나라 암각화 관련 학계 전문가들을 초청해 포항 암각화의 보존과 세계 유산적 가치를 중심으로 논제들이 마련될 예정이다.
1부는 ‘영일만의 선사문화와 암각화’를 주제로 포항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가능성 등을 살펴본다.
발표주제는 경주대학교 강봉원 교수의 ‘고고학적 관점에서 보는 영일만 선사시대’ 울산대학교 이하우 교수의 ‘한국선사문화에서 영일만 암각화의 위상과 의미’ 한국의 서원통합보존관리단 박진재 팀장의 ‘세계유산의 이해와 연속유산으로서의 암각화’로 구성된다.
2부에서는 포항에 산재해 있는 암각화 유적의 보존문제에 대해 발표한다.
중앙대학교 송화섭 교수의 ‘포항 칠포리 생식기 암각화의 문화사적 가치’ 국립민속박물관 장장식 학예연구관의 ‘영일만 윷판형 암각화의 형성과 의례성’ 청암문화재연구소 최기주 소장의 ‘영일만 석조문화재 보존방안-암각화를 중심으로’ 등의 발표가 이어진다.
3부 종합토론에서는 학계와 지역민들이 포항암각화를 두고 자유롭게 생각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포항문화재단 관계자는 “암각화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논의가 가능한 자리이며 특히 암각화를 비롯한 지역 문화유산에 관해 피부에 와 닿는 이슈를 논하는 중요한 기회”라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