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최근 확산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매년 겨울마다 발생하는 구제역, 조류독감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시방역 대응체계를 구축한다고 9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거점소독시설과 통제초소를 중심으로 상시방역 대응체계 구축에 나선다. 도는 현재 공무원과 군병력 등을 중심으로 한 방역에서 민간 인력을 고용하는 방식으로 방역 체계를 전환한다. ASF의 확산을 방지하고 겨울철마다 반복되는 가축질병에 대응키 위해서는 비상시 공무원과 군장병 등을 동원하는 일시 방역이 아니라 상시 차단방역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도는 내년 일자리 예산 가운데 200억원 가량을 방역 예산으로 전환, 공공근로 형태로 주민을 고용해 거점소독시설 등을 운영할 방침이다. 고용인원은 거점소독시설 224명, 통제초소 137명으로 예상된다. ‘거점소독시설’은 기존 소독시설로 세척·소독이 어려운 분뇨나 가축운반차량 등의 소독을 위해 축산차량의 바퀴, 측면에 부착된 유기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소독을 실시하는 시설로 도내 16곳에 설치돼 있다. 주요 도로변에 설치돼 이동차량을 소독하는 통제초소 시설은 현재 24곳이 운영 중이다.
도가 상시방역 체계 구축에 나선 것은 사후처리보다 예방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지난 2011년 강원도에 구제역이 발생했을 당시 소와 돼지 등 41만9000마리가 살처분 돼 보상금만 2268억원이 지급됐다.
박재복 도 농정국장은 “ASF 확산 장기화가 우려되면서 공무원과 군병력이 장기간 방역에 참여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역 주민을 방역요원으로 고용하게 되면 행정 결손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일자리 창출과 가축질병 차단이라는 일석 삼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바이러스 유입경로로 예상되는 비무장지대(DMZ) 접경지역, 포천 등 경기도와 경계를 맞댄 시군, 동해안으로 방역대를 나눠 차단방역을 하고 있다. 소독 차량 116대를 동원해 도 경계 진입도로 및 접경지 하천·도로, 거점소독시설 및 통제초소, 양돈 농가 주변 도로 및 농장 통제초소 등 삼중 차단소독을 시행 중이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