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시내버스 ‘혈세먹는 하마’ 매년 수백억원 지원에도 만성적자

입력 2019-10-09 10:38 수정 2019-10-09 15:49
울산 시내버스 회사들이 매년 수백억원의 혈세를 지원받고 있지만 만성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울산시의회 손종학 의원은 9일 보도자료를 통해 “울산시의 지역 시내버스업체 적자보전액이 해가 갈수록 늘었다”며 “적자를 세금으로 메워주는 손쉬운 경영환경이 오히려 경영개선 의지보다는 다른 사업에 눈을 돌리게 하는 도덕적 해이를 부추기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손 의원은 오는 11일 개회하는 제208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송철호 시장을 상대로 하는 시정질의를 통해 울산지역 시내버스 관련 문제를 지적할 예정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 시내버스업체 8곳 중에 7곳은 자본잠식 상태로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업체 8곳의 총 자본이 614억3600만원 규모인 가운데 당기순이익은 37억9300만원에 불과했다.

시민 예산으로 버스회사에 지원하는 금액은 지난 2013년 249억원, 2014년 246억원, 2015년 247억원, 2016년 264억원, 2017년 373억원, 2018년 526억원, 2019년 583억원이다.

적자노선 재정지원 또한 2013년 54억원, 2014년 54억원, 2015년 67억5000만원, 2016년 74억원, 2017년 175억원, 2018년 311억원, 2019년 381억원으로 7년 사이 7배 넘게 늘었다.

2018년 4월말 기준 울산 시내버스는 업체 8곳이 741대의 버스로 106개 노선을 운행 중이다.

4년 전 현재 요금이 반영된 2015년 12월 기준으로 비교하면 총 재정지원은 2배 이상, 적지노선 재정지원 5배 이상 늘었지만 업계는 여전히 만성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버스회사들은 지원금 상당부분을 부채의 이자 갚는데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전체 비용의 65%가 인건비, 20%가 연료비이고, 고정비용 85%를 뺀 나머지 15%에서 경영개선을 해야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울산 시내버스는 매년 수백억원의 예산을 지원받고 있지만 대중교통 서비스 만족도는 7대 특·광역시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가 2017년 실시한 대중교통 서비스 만족도 조사결과(7점 척도)에 따르면 서울 5.04, 부산 4.91, 대구 4.86, 대전 4.86, 광주 4.81, 울산 4.69로 7대 특·광역시 중 최하위권이다.

이 때문에 버스업계에 대한 일방적인 지원보다 경영 개선을 전제로 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한편 시내버스 업계는 4년째 동결중인 버스요금을 일반 시내버스 요금기준 현행 1300원에서 1900원으로 인상해 달라고 울산시에 요청했다.

이에 대해 울산시는 이달 중에 발표되는 운송원가 용역과 재정지원금 규모를 분석해 200원 이하로 인상할 방침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