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가련산공원 아파트 건립 진통 - 사업 백지화도 검토

입력 2019-10-08 15:45
전북 전주시가 LH와 손잡고 덕진동 가련산공원에 대규모 아파트를 건립하는 계획이 진통을 겪고 있다. 사업 백지화도 신중히 검토되고 있어 공원 개발을 기대했던 토지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8일 전주시에 따르면 장기미집행도시공원 대책협의회가 가련산공원 개발 계획을 놓고 5차례 회의를 가졌으나 아직까지 아무런 결론을 내지 못했다.

최근 열린 회의에서는 아파트 건립 계획을 중단하고 전주시가 일대를 매입해 도심공원으로 유지하자는 목소리가 높았다. 상당수 대책위원들은 전주지역 아파트 공급률이 100%를 넘어선데다 도심권 공원 개발에 따른 환경단체의 반발과 지역사회 갈등 등이 우려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전주시와 LH는 사업 취소 등의 방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전주시는 다음달 말까지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가련산공원 관리방안을 확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 재정사업으로 추진키로 결정될 경우 전주시는 향후 5년 이내에 토지보상을 거쳐 소유권을 모두 전주시로 이전시킬 계획이다.

하지만 당초 개발 계획이 무산되고 공원 유지로 방향이 바뀐다면 토지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내년 7월부터 장기미집행 공원부지에 대한 일몰제가 적용되면 개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았었기 때문이다. 특히 시가 매입한다 해도 언제나 보상이 끝날지 미지수여서 240여명에 이르는 토지주들의 반발은 커질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아파트 개발 중단과 공원 유지 등을 포함해 중지를 모아 다음 달까지 좋은 방안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전주시는 지난해부터 LH와 함께 덕진동주민센터 인근 32만 1386㎡에 펼쳐진 가련산공원에 대규모 아파트를 건설하는 개발 계획을 추진해 왔다. 이들 기관은 전체 부지의 30%에 아파트 1890가구를 건설하고 여기서 발생한 수익금으로 70%를 공원다운 공원으로 조성키로 했었다.

한편 전주시는 내년 7월 장기미집행 공원부지에 대한 일몰제를 앞두고 기린공원, 황방산공원, 삼천공원, 인후공원 등 모두 14개 공원(112만여㎡)을 매입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가련산공원을 포함해 15곳을 모두 매입할 경우 35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