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욕설 논란을 빚은 여상규 법사위원장이 사과와 함께 속기록 삭제를 요청했다. 이에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번 기재되면 삭제가 불가능하다”고 설명하자 여 위원장은 묘한 표정으로 정 의원을 쳐다봤다.
여 위원장은 7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서 열린 법사위 국정감사에서 자신의 신상 발언에 반발한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욕설했다. 발단은 국회 패스트트랙 사건에서 비롯됐다. 여 위원장은 이날 “패스트트랙 사건은 순수한 정치적 사건”이라며 “검찰이 손댈 일이 아니다. 밀어붙인다고 공정한 수사가 아니다”라는 취지로 말했다.
여 위원장은 이 사건으로 고발된 상태로 피감기관에 대한 수사 외압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김 의원도 “수사를 받아야 할 당사자가 수사가 적절치 않다, 수사를 사실상 하지 말라는 취지로 말했다”며 “이런 주장도 할 수 있지만 남부지검 조사실 가서 해야 할 이야기다. 국정감사에서 감사 위원이 할 말은 아니다. 국회법 정신을 정면으로 훼손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송삼현 서울남부지검장에게 “그런 논리들 기억에서 완전히 지우라. 그 말을 들었다 하는 사실 자체를 잊으라”고 당부했고 송 지검장도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하겠다”고 답했다.
여야 의원들이 이를 두고 고성이 오갔다. 이 과정에서 여 위원장은 “듣기 싫으면 귀 막아요. 듣고 싶은 얘기만 들어요. 원래 듣고 싶은 얘기만 듣잖아, 하고 싶은 얘기만 하고, 민주당은”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도 “위원장 자격이 없다. 이게 뭐냐 대체”라며 강하게 항의했다. 여 위원장도 지지 않고 “누가 당신한테 자격 받았어”라며 호통을 친 뒤 혼잣말로 “웃기고 앉았네. XX같은 게”라고 중얼거렸다.
여 위원장의 욕설은 국감장 내 다른 사람들에게는 들리지 않았다. 이후 여 위원장은 “신상 발언 원인을 제공한 사람은 김종민 의원”이라며 “본인이 더 난리 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발언권을 신청했지만 여 위원장은 주광덕 의원에게 질의 순서를 넘겼다. 이후 공방은 일단락되는 듯했다.
그러나 여 위원장의 욕설 장면이 인터넷을 통해 생중계 되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민주당 의원들은 속기록을 통해 욕설을 확인한 뒤 사과를 요구했다. 여당 간사인 송기헌 의원은 인터넷에서 영상이 퍼지고 있다며 사과해야 한다고 설명하자 여 위원장은 나중에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송 의원이 “영상이 돌고 있어서 지금 해야 한다”고 설명하자 여 위원장은 에둘러 사과했다.
여 위원장은 “김 의원 말에 화가 나 (제가) 이렇게 얘기 했다고 한다”며 “영상이 있다고 하는데 그때 흥분한 건 사실”이라고 했다. “흥분해서 (사용한)정확한 표현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그런 말을 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한 여 위원장은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공개 사과했다.
그러나 송 의원은 재차 “위원장의 사과는 받아들이는데 김 위원에게 직접 하신 말씀이기 때문에 김 의원에게 정식으로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여 위원장은 “내가 기억이 안 난다”고 했다. 이에 송 의원은 “속기록에 ‘웃기고 있네. XX 같은 게’라고 돼 있다”고 했다. 이에 여 위원장은 “김 의원에게 미안하고 사과드린다. 이해해 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후 여 위원장은 자신의 발언을 속기록에서 지워달라고 요청했다.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질의 순서가 되자 “저도 고성을 지른 것에 대해 죄송하다는 말씀드린다”면서 “안타깝게도 속기록에 한 번 기재되면 삭제가 불가능하다. 약간의 취지 수정만 가능하다. 위원장님, 제가 존경하는데 차분하게 진행을 부탁한다”고 재차 요구했다.
이를 듣고 있던 여 위원장은 “내가 평소 정성호 의원을 존경해왔는데 이번에 존경할 이유를 다시 알았다”며 한발 물러섰다. 여 위원장은 1977년 서울대 법대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서울고등법원 판사로 근무했다. 변호사로 활동하던 중 2008년 한나라당에서 공천을 받아 국회에 진출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